부산박물관은 부산에 거주하는 이상민 씨로부터 조선 세종대왕 시대 태실 유물 2점을 비롯한 총 24점의 유물을 기증받았다고 6일 밝혔다.
기증받은 유물 중 ‘세종의 왕자 태실’ 유물 2점은 세종 대왕 열번째 아들인 왕자 의창군(義昌君)의 태지석(胎誌石)과 안태용(安胎用) 분청사기(粉靑沙器)>이다.
의창군은 1428년 세종의 열 번째 아들로 신빈 김 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435년에 의창군으로 봉해졌으며 1460년에 사망했다.
태지석은 주로 사각형의 납작한 돌 표면에 생년월일, 이름, 태를 묻은 일자를 새겨 태실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려주는 유물로 태실 안에 태항아리와 함께 봉안했다. 안태용은 태(胎)를 안치한다는 뜻이다.
태실(胎室)은 왕실에서 왕자나 공주 등 왕손이 태어나면 땅의 기운이 좋은 곳을 정해 태(胎)를 묻었던 곳이다. 특히, 왕실은 태실이 국운과 직접적 관련이 있어 더욱 소중하게 다뤘다.전국팔도의 풍수 좋은 명당에 흩어져 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때 조선 왕실과 백성들과의 연결고리를 끊어버리려는 의도에서 전국팔도 명당에 있던 태실을 서울 근교로 옮겨와 서삼릉에 일괄적으로 모아놓았다.
박물관측은 이과정에서 태실의 유물이 교란되고 중요한 문화재였던 태항아리가 상당수 도굴됐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세종의 왕자 태지석 6점, 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 7점의 행방을 알 수 없었으나, 이번 기증을 통해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세종의 왕자 태실 유물 2점을 새롭게 확인했다.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의 명문 내용을 살펴보면 의창군은 1428년 10월 27일 묘시생으로 1438년 3월 11일에 태를 묻은 것으로 확인됐다.성주 선석산 의창군 태실 비석(아기비)의 명문 중 태를 묻은 일자가 일치한다는 것을 이번에 기증받은 유물을 통해 확인됐다.
의창군은 세종의 왕자 중 1438년 3월 10일 가장 먼저 태실을 조성한 세조에 이어 두 번째로 경북 성주 선석산에 태를 묻었다. 세조와 의창군을 제외한 나머지 왕자들은 1439년 이후에 태실을 조성했다.
현재 18명의 왕자 중 4명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안태용분청사기는 꼭지가 달린 반구형 뚜껑 모양의 분청사기로, 태항아리 전체를 덮는 용도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양 구성을 4~5단으로 나누고 연꽃잎이 겹쳐진 문양을 상감기법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독특한 형태와 문양 기법, 문양 구성을 지닌 유물은 경북 성주 선석산 세종의 왕자 태실에서만 확인된다.
특히, 연꽃잎이 겹쳐진 문양과 뚜껑 중앙 부분을 삼각집선문으로 띠처럼 표현한 기법은 기존에 확인된 11점의 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의 양식 중 세조의 안태용 분청사기와 매우 유사해, 세조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씨는 이밖에 청자완, 분청국화인화문접시 등 도자기 9점, 삼국시대 토기 1점 등 22점의 다양한 유물을 기증했다. 2019년에 이어 두 번째 기증이다.
송의정 부산박물관 관장은 “이번에 기증받은 유물은 도기 및 분청사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던 15세기 조선 전기 장태문화(藏胎文化)를 알 수 있고 특히 세종의 왕자 태실에서만 확인되는 특정한 시기, 장소 및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며, “향후 유물의 보존처리를 진행하고 기존 연구성과 검토 및 비교 연구를 거친 후 일반 시민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기증받은 유물 중 ‘세종의 왕자 태실’ 유물 2점은 세종 대왕 열번째 아들인 왕자 의창군(義昌君)의 태지석(胎誌石)과 안태용(安胎用) 분청사기(粉靑沙器)>이다.
의창군은 1428년 세종의 열 번째 아들로 신빈 김 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435년에 의창군으로 봉해졌으며 1460년에 사망했다.
태지석은 주로 사각형의 납작한 돌 표면에 생년월일, 이름, 태를 묻은 일자를 새겨 태실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려주는 유물로 태실 안에 태항아리와 함께 봉안했다. 안태용은 태(胎)를 안치한다는 뜻이다.
태실(胎室)은 왕실에서 왕자나 공주 등 왕손이 태어나면 땅의 기운이 좋은 곳을 정해 태(胎)를 묻었던 곳이다. 특히, 왕실은 태실이 국운과 직접적 관련이 있어 더욱 소중하게 다뤘다.전국팔도의 풍수 좋은 명당에 흩어져 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때 조선 왕실과 백성들과의 연결고리를 끊어버리려는 의도에서 전국팔도 명당에 있던 태실을 서울 근교로 옮겨와 서삼릉에 일괄적으로 모아놓았다.
박물관측은 이과정에서 태실의 유물이 교란되고 중요한 문화재였던 태항아리가 상당수 도굴됐다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세종의 왕자 태지석 6점, 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 7점의 행방을 알 수 없었으나, 이번 기증을 통해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던 세종의 왕자 태실 유물 2점을 새롭게 확인했다.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의 명문 내용을 살펴보면 의창군은 1428년 10월 27일 묘시생으로 1438년 3월 11일에 태를 묻은 것으로 확인됐다.성주 선석산 의창군 태실 비석(아기비)의 명문 중 태를 묻은 일자가 일치한다는 것을 이번에 기증받은 유물을 통해 확인됐다.
의창군은 세종의 왕자 중 1438년 3월 10일 가장 먼저 태실을 조성한 세조에 이어 두 번째로 경북 성주 선석산에 태를 묻었다. 세조와 의창군을 제외한 나머지 왕자들은 1439년 이후에 태실을 조성했다.
부산박물관은 시민 이상민 씨로부터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를 기증받아다고 6일 밝혔다.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은 이번 기증을 통해 최초로 그 존재가 드러났다.
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는 세종대왕의 왕자 태실에서만 나오는 형태의 도자기이다.<부산박물관 제공>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은 이번 기증을 통해 최초로 그 존재가 드러났다.
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는 세종대왕의 왕자 태실에서만 나오는 형태의 도자기이다.<부산박물관 제공>
안태용분청사기는 꼭지가 달린 반구형 뚜껑 모양의 분청사기로, 태항아리 전체를 덮는 용도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양 구성을 4~5단으로 나누고 연꽃잎이 겹쳐진 문양을 상감기법으로 표현했다.
이러한 독특한 형태와 문양 기법, 문양 구성을 지닌 유물은 경북 성주 선석산 세종의 왕자 태실에서만 확인된다.
특히, 연꽃잎이 겹쳐진 문양과 뚜껑 중앙 부분을 삼각집선문으로 띠처럼 표현한 기법은 기존에 확인된 11점의 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의 양식 중 세조의 안태용 분청사기와 매우 유사해, 세조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씨는 이밖에 청자완, 분청국화인화문접시 등 도자기 9점, 삼국시대 토기 1점 등 22점의 다양한 유물을 기증했다. 2019년에 이어 두 번째 기증이다.
부산박물관은 시민 이상민 씨로부터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세종의 왕자 안태용 분청사기를 기증받아다고 6일 밝혔다.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은 이번 기증을 통해 최초로 그 존재가 드러났다.<부산박물관 제공>
세종의 왕자 의창군 태지석은 이번 기증을 통해 최초로 그 존재가 드러났다.<부산박물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