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희경 소셜미디어랩 기자
긴급재난지원금에 한해 선거는 정보와 정책을 널리 알리는 장을 조성하는 대신 논란과 모호함을 키우는 계기로 작동했다. ‘4인 가구 기준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한다’는 이달 초 당정 발표가 나온 뒤 배제된 30%의 반발심이 선거 국면과 만나며 연쇄 화학반응이 일어났다.
유세장이나 선거대책회의장에서 정치인들은 앞다퉈 수정을 약속했다. 야당 대표는 ‘묻고 더블’을 외치듯 ‘4인 가구 기준 200만원’으로 금액을 높였다. 당정의 한 축으로 내렸던 결정을 ‘셀프디스’하며 여당 대표는 ‘100% 지급안’에 힘을 실었다.
4인 가구 기준 100만원인지 200만원인지, 받는 사람이 전 국민의 70%인지 100%인지 통 모르게 된 사이에 총선 전날 국무회의에 상정된 ‘공식문건’은 정치인들이 그저 말의 향연을 벌이고 있었단 점을 상기시켰다.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원안대로 ‘70%에게 100만원’이 통과됐다. 국무회의가 열린 날 여당 원내대표는 ‘어느 지역 후보가 당선되면 여당이 100%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겠다’고 지원유세를 했고, 야당은 이 발언의 부적절함을 ‘금권선거’라고 비판했다. 유권자에게 투표 경품 준다는 식으로 접근한 여당이나, 어찌 됐든 재정 정책인 이 사안을 여당이 돈 푼다는 금권선거 논리로 바라보는 야권이나 기저에 깔린 사고는 같다. 나랏돈을 그저 정치인들이 처분하는 돈처럼 여기는 것이다.
일부 자산을 계산에 넣는다고 해도 결국 건강보험 납부액을 주요 근거로 삼는 소득 30% 안에는 경제활동인구의 주요 축인 30~50대 맞벌이, 1인 가구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변변하게 모아 둔 자산도 없고, 맞벌이를 하느라 통제할 수 없는 지출이 커져 자산을 모으기는커녕 제대로 쓰지도 못하고 사는데 우리나라 소득 상위 30%에 포함된다는 사실에 느껴진 생경함. 그 생경함을 짚다 건보료와 세금을 기준으로 한 다른 직군의 소득이 정말 나보다 낮은지 문득 든 의심. 그 의심이 스스로를 ‘세금 내는 기계’처럼 여기는 허탈함으로 빠지게 만든 게 ‘70% 지급안’에 대한 불만의 단초다. 이 허탈함을 달래려 선거판 허언일지라도 100% 지급을 요구하고 싶다.
‘이건희 손자까지 공짜밥을 먹어야 하느냐.’ 무상급식 도입 논란은 그저 선별복지를 주장하는 측이 내세웠던 이 캐치프레이즈만을 남겼다. 이후 선별복지인지 보편복지인지 방향성 논쟁도, 선별복지 전달체계에 대한 정비도 게을리한 채 이제 코로나 사태가 터졌다. 그리고 ‘20대 80사회’의 20%도 아니고 대체 왜 30%인지 설명조차 없이 ‘이건희 손자처럼 맞벌이 너희 집도 받지 마’라고 담론의 환경은 더 악화돼 버렸다.
saloo@seoul.co.kr
※긴급재난지원금 논란에 대한 한층 격한 육성은 유튜브 패스추리tv 강남의소리에 있습니다.
2020-04-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