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 RWA, 부동산·원자재·예술품의 가치를 블록체인상에 토큰화 해주는 코인[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RWA, 부동산·원자재·예술품의 가치를 블록체인상에 토큰화 해주는 코인[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RWA(Real World Asset)는 부동산이나 원자재, 예술품 등 실물자산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가상자산이다. 현실 세계의 자산을 토큰화해, 블록체인상에서도 쉽게 거래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4일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 Boston Consulting Group)에 따르면 RWA 시장은 2030년까지 약 16조달러(약 2경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공지능(AI) 가상자산의 등장 이후, 새롭게 시장에서 주목받는 대상이다.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디지털 공간과 현실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디지털 공간을 현실과 분리하고자 하는 목적인데, 인터넷이 상용화되면서 ‘디지털화’라는 용어도 같이 사용됐다. 다음으로는 ‘온체인’과 ‘오프체인’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된다. 블록체인 기술과 연동되었는지에 따라 온체인과 오프체인으로 구분하는 데 디지털화처럼 오프체인의 자산을 온체인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토큰화(Tokenization)’라고 하고, 토큰화되기 전의 부동산, 주식, 채권 등의 실물자산을 RWA라고 한다. 변환 과정 전의 자산을 지칭하는 용어가 나타난 것은 블록체인의 핵심
  • 가상자산 자금 추적한다, 트래블룰 도입[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가상자산 자금 추적한다, 트래블룰 도입[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코인 실명제라 불리는 ‘트래블룰’이 시행된 지도 2년이 넘었다.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과 함께 가상자산을 이용한 자금 세탁 범죄도 꾸준히 증가하기 시작하자, 자산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2022년 3월 도입됐다. 2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국내 거래소의 가상자산 외부 출고액은 38조 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트래블룰이 적용된 대상은 10조 4000억원으로 전체의 27% 수준이다. 같은 해 상반기 대비 57% 늘은 수치다. 대장주 비트코인을 비롯해 현재도 무수히 많은 가상자산이 거래되고 있지만 익명성, 법과 규제의 미흡, 블록체인의 비가역성 등을 이유로 악용하는 사례도 함께 늘어났다. 거래 당사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해 가상자산을 범죄 수익 지급 수단으로 활용하고, 현금화해 자금 세탁에 쓰이며, 물리적으로 차단이 불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자금을 탈취하는 등의 방식이다. 이 때문에 도입된 트래블룰은,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안을 적용해 마련됐다.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소 등의 가상자산사업자(VASP)가 다른 사업자에게 100만원 이상의 가상자산을 이전하는 경우
  • 코인 사업 하려면? VASP 인증 거쳐야 하는 국내 시장[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코인 사업 하려면? VASP 인증 거쳐야 하는 국내 시장[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국내 시장에서 가상자산 서비스(판매·보관·지갑 등)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금융당국으로부터 가상자산 사업자(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s, VASP) 승인을 받아야 한다. 가상자산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업자에게 일정한 자격요건과 안전장치를 갖추도록 한 규제이자, 일종의 면허인 셈이다. 21일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따르면 신고수리가 완료된 사업자는 총 37개 사다. 2021년 9월 개정된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에 따라 신고를 마친 사업자들이다. 신고 대상에는 가상자산 거래업자, 보관관리업자, 지갑서비스업자 등이 포함된다. VASP 신고 규정이 담긴 특금법은 은행 등 금융기관에 자금세탁방지(AML), 테러자금조달방지(CFT) 의무를 부여하는 법이다. 쉽게 말해 불법적인 일에 연루된 자금의 조달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특금법에 VASP 관련 내역이 포함되면서 가상자산 사업자도 금융기관에 준하는 수준의 의무를 지니게 됐다. 이에 따라 사업자는 ▲실명 확인 입출금계정 서비스(가상자산 거래 실명제) ▲정보보호관리 체계(ISMS) 인증 등을 갖추고 FIU에 신고해야만 사업을 진행
  • 자금 끌어모은 현물 ETF, 가상자산의 새로운 전환점[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자금 끌어모은 현물 ETF, 가상자산의 새로운 전환점[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올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은 가상자산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볼 수 있다. 승인 이후 대규모 자금 유입이 이어졌고, 가상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투자를 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가 열렸다. 14일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비트코인 현물 ETF는 캐나다에서 최초로 출시(2021년 2월)된 이후 올해 3월 말 기준 7개국에 상장돼 있다. 미국, 캐나다, 독일, 브라질, 호주, 스위스, 리히텐슈타인이며 지난 4월에는 홍콩 금융당국도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했다. 본격적으로 대규모 자금이 늘어난 것은 미국 SEC의 1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다. 미국 내 11개의 상품이 일제히 상장되면서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시장 규모는 이전까지 1위였던 캐나다를 바로 추월했고, 승인 직후 대규모 자금 유입의 영향으로 7만 달러를 넘어서기도 했다. 현재도 세계 현물 ETF 시장에서 80% 이상이 미국에서 거래 중인데, 미국 SEC는 지난 5월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 현물 ETF까지도 승인했다. 현물 ETF 승인은 대규모 투자자금을 보유한 기관 투자자들이 제도권 금융 규제 하에서 가상자산에 안전하고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는
  • “누가, 왜 만들었을까”…코인투자 ‘가상자산 백서’로 알고 시작하자[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누가, 왜 만들었을까”…코인투자 ‘가상자산 백서’로 알고 시작하자[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가상자산 투자를 마음먹었더라도 낯선 용어와 개념 탓에 망설여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더군다나 주식 종목처럼 기업을 고려할 수도 없고, 공시·회계 정보도 찾아보기도 힘들다. 하지만 가상자산도 참고할 만한 일종의 안내서가 있다. 가상자산의 발행 주체와 관련 기능, 목적, 유통량 등을 설명해주는 ‘백서(White paper)’다 7일 국내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국문 백서를 공개하고 있는 가상자산은 상장된 205개 중 총 101종목이다. 대부분의 백서가 외국어로 작성된 상황에서 업비트는 2022년부터 국문 번역본 제작을 시작해 이용자에게 공개하기 시작했다. 다른 거래소인 빗썸과 코인원도 국문 번역본을 제공 중이다. 일반적으로 백서는 독자에게 특정 주제나 문제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보고서나 안내서를 일컫는 말이다. 블록체인 영역에서 백서는 가상자산이나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주요 기능과 기술 사양을 설명한다. 개발 목표 또는 발행 이유 등을 담은 것인데 쉽게 말해 누가, 왜 만들었는지를 설명해주는 사업계획서인 셈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가상자산인 비트코인의 백서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개인 간 전자화폐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한다. 백서의 초록에는 “순수한 P2P(
  • 올해 상반기 비트코인 48%↑…상승세 견인한 반감기란? [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올해 상반기 비트코인 48%↑…상승세 견인한 반감기란? [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비트코인은 공급량이 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를 거칠 때마다 매장량이 한정된 금처럼 희소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직전 반감기를 포함해 2009년 시장에 처음 등장할 때부터 점차 가격이 상승해왔다. 31일 가상자산 시황중개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6만 888달러(8430만원)다. 비트코인 가격은 올해 4만 2280달러(5852만원)로 시작해 6개월 동안 48%가량 상승했다.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지난 4월에 있었던 네 번째 반감기다. 여기서 반감기란 비트코인의 공급량이 4년마다 절반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채굴자에게 주어지는 비트코인 보상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다. 네트워크상의 한 블록을 ‘채굴’이라는 과정을 통해 등록에 성공하면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고 이를 시장에 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채굴이란 일상에서 노동을 통해 금전 등 대가를 받는 것처럼, ‘작업증명’이라는 디지털 노동을 통해 비트코인이라는 가치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비트코인은 마치 매장량이 한정된 금처럼 채굴할수록 희소성이 커져간다. 2009년 비트코인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블록을 채굴할 때마다 50개의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었다면, 2
  • ‘김치프리미엄’ 꺾였다는데…한국이 해외보다 가상자산이 더 비싼 이유[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김치프리미엄’ 꺾였다는데…한국이 해외보다 가상자산이 더 비싼 이유[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국내외 가상자산 거래소를 이용하는 투자자라면 ‘김치 프리미엄’ 또는 ‘한국 프리미엄’이라는 말을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하다. 국내 가상자산 시세가 해외에서보다 높게 형성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전 세계에서 가장 뜨거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열기를 대변하고 있다. 24일 오전 10시 기준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가상자산 대장주인 비트코인의 가격은 6만 5926달러(9143만원)를 기록했다. 같은 시간 국내 거래소인 업비트에서의 가격은 9220만원이다. ‘김치 프리미엄’이 0.8% 수준이라는 의미다. ‘김치 프리미엄’이라는 신조어는 2017년 처음 등장했다. 가상자산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가상자산의 원화 가격이 달러 가격을 웃도는 현상이 나타나면서다. 4년 뒤인 2021년에는 가상자산 시장이 전에 없이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김치 프리미엄이 10% 이상 오르기도 했다. 가상자산은 이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더 높은 가격을 찾아 전 세계 곳곳의 거래소를 옮겨다니며 차익 실현에 나서기도 한다. 이렇게 발생하는 거래소 간 잦은 자본 이동이 전 세계의 수많은 거래소에 흩어져 있는 가상자산들의 가격을 일정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만든
  • 코인은 어디에 보관할까, 은행 계좌와는 다른 ‘가상자산 지갑’[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코인은 어디에 보관할까, 은행 계좌와는 다른 ‘가상자산 지갑’[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투자자가 가상자산을 소유하거나 거래하기 위해서는 가상자산 ‘지갑’이 필요하다. 가상자산 지갑은 평소에 사용하는 은행계좌, 실물 지갑과 유사한 역할을 하지만 카드나 현금과 같은 자산을 직접 보관하지 않고, 데이터 형태로 자산을 다룬다. 1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오는 19일부터 가상자산이용자 보호법에 따라 고객이 예치한 가상자산의 80% 이상을 ‘콜드 월렛(Cold wallet)’에 보관해야 한다. 여기서 콜드 월렛은 오프라인 상태에서 동작하는 전자지갑의 일종으로 USB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한다. 인터넷과 항상 연결된 ‘핫 월렛(Hot wallet)’에 비해 자산 이동이 어렵지만 해킹으로부터는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다. ‘지갑’이라는 용어와는 달리 엄밀히 말해 전자지갑은 가상자산에 접근할 자격을 담는 일종의 수단으로 봐야 한다. 가상자산을 지갑에 보관한다는 의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을 해둔다는 뜻이다. 전자지갑을 만들면 개인 키와 공개 키(주소)가 발급되는데 네트워크상에 가상자산이 위치한 곳을 표시한 것이 공개 키다. 이 주소는 알파벳과 숫자가 섞여 있는 문자열 형태로 구성되고 보통 ‘1, 3, bc’로 시작한다. 주소만 알면 관
  • 알트코인이란? ‘비트코인과 아이들’ [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알트코인이란? ‘비트코인과 아이들’ [돈이 되는 코인 이야기]

    비트코인은 흔히 가상자산 시장의 대장주로 불린다. 전체 가상자산 시장의 가격 흐름을 주도하기 때문이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출렁일 때마다 대부분의 ‘알트코인’도 같은 방향으로 함께 움직인다. 알트코인은 ‘Alternative Coin’을 줄인 말로 대안코인 또는 대체코인이라는 뜻이다. 2009년 가상자산 중 최초로 나타난 비트코인 이후 후발주자로 탄생한 가상자산은 모두 ‘알트코인’이다.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게코에 따르면 10일 기준 1만 4882개의 가상자산이 등록돼 거래 중이다. 물론 이 많은 종류의 가상자산 중 알트코인이 아닌 가상자산은 비트코인 하나다. 지난 3월 14일 비트코인 가격이 처음으로 국내 시장에서 1억원을 넘어설 당시 전체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은 2조 8457억 달러(3982조원)에 달했다. 하지만 비트코인 가격이 5만 달러 선으로 내려앉은 요즘 전체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은 2조 2211억 달러(3076조) 수준에 머물러 있다. 지난 3월 대비 20% 이상 감소했다. 가상자산 시장 전체의 시가총액 중 비트코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다 보니 비트코인의 가격이 곧 시장 전체의 흐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지난 2017년에는 비트
  • 1억 비트코인보다 거래량 많은 ‘테더’, 이유는 스테이블 코인[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1억 비트코인보다 거래량 많은 ‘테더’, 이유는 스테이블 코인[돈이 되는 코인이야기]

    한때 1억원을 넘어서기도 했던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보다 하루 거래량이 더 많은 가상자산이 있다.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의 대표주자인 ‘테더’다. 스테이블 코인은 법정화폐, 가상자산, 알고리즘과 연동 돼 가격이 결정되는 가상자산을 말한다. 3일 가상자산 시황중개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오전 9시 기준 테더(USDT)의 24시간 거래대금은 39조 3360억원으로 비트코인(20조 1059억원)보다 두 배 가량 많다. 이는 테더가 가상자산 시장에서 일종의 기축통화로 쓰이기 때문이다.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는 달러와 연동되어 있어 1개 코인의 가치는 1달러로 유지된다. 쉽게 말해 법정화폐인 달러가 가지는 가치의 변동성만큼만 가격이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 발행사는 유통되는 테더와 유사한 양의 달러를 은행에 예치 중이기도 하다. 스테이블 코인은 가상자산이 실제 생활에서 화폐로 사용되기 어렵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했다. 기존 가상자산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전통 금융 대비 거래 비용이 낮고 송금 시간이 단축되는 등의 특징을 지녔지만, 가격 변동성이 커 상거래나 금융 거래에서 용이하게 사용하기는 힘들었다. 예를 들어 가상자산 A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