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익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김영익의 경제 통찰
  • [김영익의 경제 통찰]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환율이 더 오를까

    [김영익의 경제 통찰] 한은이 금리를 내리면 환율이 더 오를까

    캐나다은행과 유럽중앙은행(ECB)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보다 기준금리를 먼저 인하했다. 한국은행(한은)은 언제 금리를 내릴 것인가. 이창용 한은 총재는 앞으로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천천히 서두름’의 원칙이 중요하다고 했다. ‘기준금리 인하가 너무 빨라도 안 되고 너무 늦어도 안 된다’는 의미일 것이다. 한은은 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성장, 물가, 고용, 환율 등 다양한 경제 변수를 고려할 것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변수 가운데 하나가 환율이다. 한은이 연준보다 먼저 금리를 인하하면 자금이 유출돼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고, 이는 수입 물가의 상승을 통해 물가를 다시 밀어올릴 수 있다. 한은의 앞선 금리인하를 반대하는 논리다. 돈이라는 게 눈이 있어서 수익률이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2008년 1월에서 올해 5월까지 한미 10년 국채수익률 차이와 원달러 환율의 관계를 분석해 보면 약한 음의 상관관계(상관계수 -0.14)가 있었다. 한미 금리 차이가 축소되면 원달러 환율이 상승했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 자금 유출이 있다. 그러나 오히려 외국인 증권투자 자금이 국내로 들어오고 있다. 지난해 외국인은 우리 상장주식을 10조 5010억원어치 순매수했고, 올해
  • [김영익의 경제 통찰] 국민소득 5만 달러의 전제 조건

    [김영익의 경제 통찰] 국민소득 5만 달러의 전제 조건

    정부가 다음달 발표할 3개년 계획에서 ‘5·7·5 경제’ 로드맵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를 달성하고, 중산층을 70%로 육성하며, 5대 수출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것이다. 앞으로 3년 이내에 일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가 도래할 수 있을까. 참고로 지난해 국민소득은 3만 3745달러였다. 국민소득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인구, 명목 국민총소득(GNI), 환율이다. 통계청 추계에 따르면 2026년 인구는 5160만 9121명으로 올해보다 약 10만명 줄어든다. 인구 감소는 일인당 국민소득의 증가 요인이다. 국민소득이 증가하기 위해서는 경제가 성장해야 한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경제성장률은 국내총생산(GDP) 대상이다. GNI는 GDP에서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과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 간 소득과 우리 국민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차이를 제거한 것이다. 필자가 추정하면 현재 우리나라 명목 GDP 잠재성장률은 3.8%(실질 GDP 2%) 정도다. 이보다 경제가 훨씬 더 빨리 성장해야 일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시대가 도래할 수 있다. 그러나 잠재 성장을 결정하는 요인을 보면 단기간에 크게 개선되기가 어렵다. 통계
  • [김영익의 경제 통찰] 시장금리·기준금리 괴리, 어떻게 좁혀갈까

    [김영익의 경제 통찰] 시장금리·기준금리 괴리, 어떻게 좁혀갈까

    시장금리를 대표하는 3년물 국고채 수익률이 지난해 12월부터 이달까지 5개월 연속 기준금리를 밑돌고 있다. 이는 우리 금리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시장금리가 상승하기보다는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금리의 정상화가 진행될 전망이다. 금융회사나 가계의 자산 배분 측면에서 채권 비중을 늘려도 되는 시기인 것 같다. 시장금리가 기준금리에 선행해 움직이는 경향이 있었다. 최근 10년 통계를 분석해 보면 국고채 3년물 수익률이 기준금리에 3개월 정도 선행(상관계수 0.93)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관계 분석을 해 보아도 시장금리가 기준금리를 일방적으로 설명해 주었다. 시장금리가 하락(상승)하면 뒤따라 기준금리도 인하(인상)됐다는 의미다. 물론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그 뒤에 시장금리가 한 단계 더 하락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부터 국고채 3년물 수익률이 기준금리를 밑돌면서 시장이 계속 한국은행에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언제 인하할 것인가? 그 답은 물가상승률에 있다. 한국은행은 정부와 협의해 물가안정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2019년 이후 물가안정 목표는 소비자물가상승률(전년 같은 기간 대비) 기준 2%이다. 2022년에
  • [김영익의 경제 통찰] ‘리디노미네이션’ 검토해 보자

    [김영익의 경제 통찰] ‘리디노미네이션’ 검토해 보자

    올 들어 우리 경제가 수출 중심으로 회복되고 있으나 소비를 포함한 내수는 여전히 부진한 상태다. 리디노미네이션(화폐 액면단위 변경)은 내수를 부양할 수 있는 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1950년 이후 두 차례 리디노미네이션을 단행했다. 첫 번째는 1953년 2월 15일 ‘대통령긴급명령 제13호’에 근거했다. 6·25전쟁으로 생산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거액의 군사비 지출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진 시기였다. 화폐단위를 ‘원’에서 ‘환’으로 변경하고 화폐 액면 금액을 100대1로 바꿨다. 2차 리디노미네이션은 1962년 6월 10일 ‘긴급통화조치법’으로 단행됐다. 화폐의 액면을 10분의1로 조정하고 새로운 ‘원’으로 표시했다. 퇴장자금을 양성화해 경제개발계획에 필요한 투자자금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 당시 화폐단위 변경의 주목적이었다. 3차 리디노미네이션을 검토할 시기인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액면 표시 단위가 너무 커졌다. 지난해 9월 말 우리나라 전체 금융자산은 2경 4534조원이었다. ‘경’이란 숫자에는 ‘0’이 16개나 들어 있다. 지난해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2236조 3294억원으로, 2차 리디노미네이션을 단행했던 1962년 GD
  • [김영익의 경제 통찰] 코스피, 12% 저평가돼 있다/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김영익의 경제 통찰] 코스피, 12% 저평가돼 있다/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올 들어 미국 주요 주가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만큼 많이 오르고 있다. 그러나 우리 주가는 지난해 말보다 떨어졌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으로 평가하면 우리 주가는 저평가, 미국 주가는 고평가 영역에 있다. 시간이 가면 주가는 결국 제자리에 접근해 간다. 주가는 장기적으로 명목 GDP를 반영하면서 그 이상으로 상승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2023년 명목 GDP는 연평균 5.7% 성장했고, 코스피(KOSPI)는 같은 기간 연평균 7.4% 상승했다. 주가지수 상승률이 매년 평균적으로 명목 GDP 성장률을 1.7% 포인트 웃돈 셈이다. 미국에서도 명목 GDP와 주가지수 사이에 유사한 관계가 나타났다. 2000~2023년 연평균 명목 GDP 성장률은 4.5%였고, 미국 주가지수를 대표하는 S&P500 상승률은 6.8%였다. 주가지수 상승률이 명목 GDP 성장률을 2.3% 포인트 웃돌았다. 지난 24년 동안을 보면 연평균 코스피 상승률이 S&P500 상승률보다 높았다. 물론 우리 GDP 성장률이 미국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기 추세를 활용해 적정 주가 수준을 찾아볼 수 있다. 즉 주가지수를 명목 GDP로 회귀분석해 적정 수준을
  • [김영익의 경제 통찰] 가계 금융자산 어떻게 배분할까/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김영익의 경제 통찰] 가계 금융자산 어떻게 배분할까/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최근 한국은행이 지난해 3분기 자금순환을 발표했다. 자금순환은 한 국가에서 돈이 어디서 생겨 어디로 흘러가는지를 한눈에 보여 줄 뿐만 아니라 각 경제주체가 자금을 어떻게 조달하고 운용하는지를 보여 준다. 가계 금융자산 구성에서 예금 비중은 상대적으로 높고 채권이나 주식 비중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해 3분기 가계는 5073조원의 금융자산을 보유했다. 가계는 금융자산을 현금 및 예금, 주식, 채권, 보험 및 연금으로 나눠 운용한다. 3분기 가계 금융자산 가운데 예금 비중이 47.5%로 2021년의 43.4%보다 큰 폭으로 늘었다. 은행 예금금리가 한때 5%를 넘는 등 금리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었다. 이와 달리 주식 비중은 같은 기간 23.0%에서 21.7%로 낮아졌다. 채권 비중은 2.3%에서 3.2%로 약간 높아졌지만, 2014년 6.2%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우리 경제 여건을 보면 금리는 중장기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우선 금리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경제성장률이 낮아질 전망이다. 현재 우리 경제 성장 능력을 나타내는 잠재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 안팎으로 추정된다. 갈수록 잠재성장률은 더 낮아질 것이다. 노동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