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육청은 지난 8일 수평적 조직관계 정착을 위한 ‘서울교육 조직문화 혁신방안’을 발표하며 학교와 교육청 산하 기관 내 상호 호칭을 ‘~님’, ‘~쌤’ 또는 ‘~프로’나 영어 이름 등으로 부르는 ‘수평적 호칭제’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당일 구체적인 내용 확인을 위해 서울교육청 실무 담당자에게 전화를 걸어 “수평적 호칭제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도 적용되는 것이냐”고 물었더니 “그렇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요즘 학생들이 선생님을 ‘쌤’으로 부르는 것은 일상이 되지 않았느냐”는 설명도 들었다.
그러나 다음날인 9일 반대 성향의 교원 단체인 서울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는 논평을 내고 “현장을 모르는 소리”라며 한목소리를 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이 뒤늦게 수습에 나섰다. 조 교육감은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선생님이 학생을, 학생이 선생님을 부를 때 수평적 호칭을 사용하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앞서 실무진에게 확인했던 내용과는 다른 입장이었다. 서울교육청은 “당시엔 (교사와 학생 간 수평적 호칭제 사용을 포함해)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취지였다”고 부연했다. 하지만 이미 서울교육청의 조직 혁신 방안은 ‘~쌤’, ‘~님’ 호칭 논란으로 빛이 바랬다. 서울교육청이 지난해 7월 ‘조직문화 혁신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해 5개월에 걸쳐 준비했던 것이 ‘설익은 정책’으로 외면받을 처지에 놓인 것이다.
앞서 조 교육감이 주도해 발표했던 파마와 염색을 포함한 두발자유화 문제도 비슷한 논란을 불러왔었다. 현장에서는 “교육청에서 두발 자유화에 대한 기준을 내놨는데, 이를 무시하고 자체적으로 두발 규제를 실시할 수 있는 학교가 있겠느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일부 학부모들은 “학생들에게 파마와 염색을 허용하는 것이 맞지 않다”며 반대 의견을 내기도 했다.
두 논란의 공통점은 학교 현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교육청이 먼저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교육청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하지만 교육청 지시를 받는 일선 학교에서는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교육청이 현장에서 논란이 될 만한 문제를 의제로 제시하려면 해당 문제에 대해 명쾌한 입장을 내놓을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장의 목소리에 좀더 귀를 기울일 수 있도록 소통 채널의 확대가 중요하다. 13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조직문화 혁신 TF에는 정작 학교 현장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교사는 포함돼 있지 않았다고 한다. 정책 제시에 앞서 교육청 내부적으로 좀더 꼼꼼하고 깊이 있게 고민하는 과정이 부족하지는 않았는지 아쉽다.
maeno@seoul.co.kr
그러나 다음날인 9일 반대 성향의 교원 단체인 서울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는 논평을 내고 “현장을 모르는 소리”라며 한목소리를 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이 뒤늦게 수습에 나섰다. 조 교육감은 10일 페이스북을 통해 “선생님이 학생을, 학생이 선생님을 부를 때 수평적 호칭을 사용하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앞서 실무진에게 확인했던 내용과는 다른 입장이었다. 서울교육청은 “당시엔 (교사와 학생 간 수평적 호칭제 사용을 포함해)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겠다는 취지였다”고 부연했다. 하지만 이미 서울교육청의 조직 혁신 방안은 ‘~쌤’, ‘~님’ 호칭 논란으로 빛이 바랬다. 서울교육청이 지난해 7월 ‘조직문화 혁신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해 5개월에 걸쳐 준비했던 것이 ‘설익은 정책’으로 외면받을 처지에 놓인 것이다.
앞서 조 교육감이 주도해 발표했던 파마와 염색을 포함한 두발자유화 문제도 비슷한 논란을 불러왔었다. 현장에서는 “교육청에서 두발 자유화에 대한 기준을 내놨는데, 이를 무시하고 자체적으로 두발 규제를 실시할 수 있는 학교가 있겠느냐”는 목소리가 나왔다. 일부 학부모들은 “학생들에게 파마와 염색을 허용하는 것이 맞지 않다”며 반대 의견을 내기도 했다.
두 논란의 공통점은 학교 현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 교육청이 먼저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교육청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하지만 교육청 지시를 받는 일선 학교에서는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교육청이 현장에서 논란이 될 만한 문제를 의제로 제시하려면 해당 문제에 대해 명쾌한 입장을 내놓을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장의 목소리에 좀더 귀를 기울일 수 있도록 소통 채널의 확대가 중요하다. 13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조직문화 혁신 TF에는 정작 학교 현장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교사는 포함돼 있지 않았다고 한다. 정책 제시에 앞서 교육청 내부적으로 좀더 꼼꼼하고 깊이 있게 고민하는 과정이 부족하지는 않았는지 아쉽다.
maeno@seoul.co.kr
2019-01-16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