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4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학교에서 열린 수능장도식에서 한 수험생이 학생이 수험표 뒤에 붙여 둔 채점표를 살펴보고 있다. 2018.11.14 연합뉴스
월평균 가계소득이 600만원 이상 응답자는 38.2%가 ‘수능 성적’을 1순위로 꼽았다. ‘특기·적성’(21%), ‘인성 및 봉사활동’(20.5%)이 뒤를 이었다. 월소득 4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인 응답자도 수능(29.7%), 특기·적성(26.5%), 인성·봉사활동(20.6%) 순이었다. 반면 2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 응답자는 특기·적성(30.4%), 인성·봉사활동(23.9%), 수능(23.6%) 순, 200만원 미만인 응답자는 특기·적성(28.6%), 수능(24.9%), 인성·봉사활동(23%) 순이었다. 교육개발원 관계자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 효과가 확실한 정시 확대를 지지하는 경향은 2017년도 조사 때도 마찬가지였다”면서 “매년 비슷한 경향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 응답자 평균으로는 수능(29.2%)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또 특기·적성(26.7%), 인성 및 봉사활동(21.9%), 고교 내신(11.3%), 글쓰기·논술(4.5%), 면접(2.9%) 등이 뒤를 이었다. 수능이 1순위로 선택된 것은 2015년 조사 이후 3년 만이다. 숙명여고 사태 등으로 수시 공정성 문제가 불거지며 정시 확대를 지지하는 여론이 더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9-04-01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