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 중1 부모의 효과적 지도 방식
김태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연구실 실장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 진학을 앞둔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초등학교 때와는 다르다. 초등학교 때는 아이의 첫 단체 생활과 낯선 환경에 대한 적응 등이 걱정이라면 중학교부터는 본격적으로 학업에 대한 걱정이 시작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연구실의 김태은 실장은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중학생이 되는 아이들에게 중학교 공부를 먼저 시키기 전에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학습 특성’(2015) 연구보고서를 통해 중학교에 처음 올라간 아이들에 대한 효과적 지도방안 등을 제시했다.
“중학교에 처음 입학한 아이들이 겪는 변화에 대한 충격은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큽니다. 그런데 정작 중학교 교사들은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은 모른 채 중학교 방식으로 교육하니 일부 아이들은 학기초 방황을 하기도 하죠.”
김 실장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아이들에게 중학교에 맞는 ‘공부 근육’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했다. 공부 근육이란 스스로 학업에 대한 계획을 세우고 학업 분량을 조절하는 능력을 말한다. 김 실장은 “초등학교에서는 담임 선생님이 전 과목을 가르치며 학생들의 전체 학업 관리를 해 주지만 중학교부터는 각 교과 선생님들이 본인 과목만 가르치고 나간다”면서 “중학교 진학 전에 집에서 학부모가 교과목별 교사 등 학교에서 달라지는 점들을 알려 주고 학습 계획 세우기 등을 함께 고민해 보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학원 등에서 진행되는 선행학습이 학습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이 역시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알려 주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김 실장은 “사교육에서 알려 주는 것은 특정 과목에 대한 예습 개념일 뿐”이라면서 “중학교에 들어가면 과목별 수행평가까지 합해 한 학기 동안에만 수십번의 평가가 이뤄지는데, 학부모 도움으로 학생 스스로 공부의 로드맵을 세웠다면 적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과정평가원에서 운영하는 ‘기초학력 향상 지원 사이트’(www.basics.re.kr)를 참고하면 구체적인 학습 방향을 세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김 실장은 덧붙였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9-02-20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