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에 기회균형선발특별전형(기회균형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이 학업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3일 서울대에 따르면 이 대학 평의원회 주최로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열린 ‘기회균형선발특별젼형 학생 지원 방안 연구’ 결과 발표회에서 책임연구자 이일하 생명과학부 교수는 기회균형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 60명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8월 시작된 이 연구는 사회정의적 차원에서 시행된 기회균형 전형이 제대로 자리잡고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시행됐다.
서울대 기회균형 전형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고등학교에서 우수한 성취를 이룬 학생을 정원 외로 선발하는 입학 전형이다. 지난해에는 기초수급권 및 차상위 가구 학생(81명), 농어촌 출신 학생(80명), 장애인 학생(5명), 북한이탈주민(2명) 등 모두 172명이 기회균형 전형으로 서울대에 입학했다.
이 교수는 기회균형 전형 출신 학생들이 학업 격차와 경제적 어려움, 기회균형 전형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저소득 가구 학생들은 용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제대로 학교 공부를 하지 못하고, 이로 인한 학업 부진은 다시 장학금 대상 탈락으로 이어지며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전했다. 이어 기회균형 출신 학생들은 외고·과학고·영재고 졸업생들과 선행학습 차이로 학업 격차가 발생하기도 하고, 기회균형 전형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의식해 위축되는 바람에 제대로 교우관계를 맺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물론 기회균형 전형 출신 중에서도 우수한 학업 성취를 보이며 대학에 잘 적응하는 학생도 있다”면서도 “다수 학생이 어려움을 겪는 만큼 학교 차원에서 기회균형 전형 학생들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적극적 지원 대책으로 기회균형 학생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 확충, 재정지원 확대, 학내 인식 개선 등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기회균형 학생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의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재정 지원 등으로 프로그램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서울대 기회균형 전형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고등학교에서 우수한 성취를 이룬 학생을 정원 외로 선발하는 입학 전형이다. 지난해에는 기초수급권 및 차상위 가구 학생(81명), 농어촌 출신 학생(80명), 장애인 학생(5명), 북한이탈주민(2명) 등 모두 172명이 기회균형 전형으로 서울대에 입학했다.
이 교수는 기회균형 전형 출신 학생들이 학업 격차와 경제적 어려움, 기회균형 전형에 대한 부정적 편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저소득 가구 학생들은 용돈을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제대로 학교 공부를 하지 못하고, 이로 인한 학업 부진은 다시 장학금 대상 탈락으로 이어지며 악순환이 발생한다”고 전했다. 이어 기회균형 출신 학생들은 외고·과학고·영재고 졸업생들과 선행학습 차이로 학업 격차가 발생하기도 하고, 기회균형 전형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의식해 위축되는 바람에 제대로 교우관계를 맺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물론 기회균형 전형 출신 중에서도 우수한 학업 성취를 보이며 대학에 잘 적응하는 학생도 있다”면서도 “다수 학생이 어려움을 겪는 만큼 학교 차원에서 기회균형 전형 학생들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적극적 지원 대책으로 기회균형 학생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 확충, 재정지원 확대, 학내 인식 개선 등을 제안했다. 이 교수는 “기회균형 학생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의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라며 “재정 지원 등으로 프로그램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