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지사 릴레이 인터뷰… 편집국장이 만났습니다
관료주의·저출산 결합땐 日모델거점도시 배분정책은 효과 없어
부산, 핵심 클러스터로 육성해야
박형준 부산시장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구 문제를 ‘수도권 일극주의’, ‘중앙집권적 관료주의’ 문제와 연결 지었다. 그는 “선진국을 보라. 지난 30년 정체한 대표적인 두 나라가 프랑스와 일본인데, 모두 수도권 일극주의와 중앙집중적 관료주의가 심각한 곳”이라고 지적했다. 반대 사례로는 “혁신 거점을 다원화한” 미국, 독일, 영국을 들었다. 박 시장은 이어 “몇몇 기업과 정부 기능을 전국에 일괄 분산한 ‘거점도시 배분 정책’은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 실질적인 허브 기능을 갖는 핵심 클러스터로서의 국제도시를 키워야 한다”면서 “지도를 펴 보라”고 했다.
“아시아의 대표적인 환적항으로 두바이, 싱가포르, 홍콩, 상하이, 도쿄, 부산 등을 꼽을 수 있는데 부산은 이미 환적 규모로 세계 2위이고 일본의 도쿄, 오사카, 고베보다 위치 및 가격 경쟁력에서 훨씬 앞선 만큼 이 같은 이점을 극대화해 수도권 일극주의를 분산시켜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었다. 그에게 이 ‘구조적 문제’의 본질은 수도권 일극주의였다. 박 시장은 “일본이 그렇게 오사카를 키우려 했지만 지금껏 성공하지 못했다. 제2, 제3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지 못하면 1극(極)으로의 쏠림을 막을 수 없고 여기서 파생하는 거주, 교육, 의료, 물류 등 수많은 문제로 인해 인구 계획은 성공하기 어렵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인구 정책은 잡다한 정책을 써서 될 문제가 아니다”라면서 “구조적인 문제를 구조로 풀려 하지 않고 단발적 정책으로 보완하려다 보니 정책이 쌓이고 쌓여 재정은 엄청 지출되는데 구조적인 개선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은 “1980~1990년대 글로벌 시대가 도래했을 무렵, 지도를 보고 연역적 사고를 했다면 좋았을 뻔했다. 더 지체하면 세계 국제도시들과의 경쟁을 따라가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홍콩 자본의 상당량이 이동한 싱가포르도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러 부산이 여러 기능들을 좀더 활성화할 수 있다면 많은 것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3-04-05 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