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 미디어렙 수석고문 마이클 케이시
“서양 속담 중에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이 딱 여기에 해당하는데, 한번 기록된 정보는 절대 누구도 수정할 수 없는 ‘공공거래 장부’와 같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제3자의 개입이 없는 개인 간 금융거래가 가능해진 것입니다.”마이클 케이시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수석고문
월스트리트저널(WSJ)·다우존스 등의 칼럼니스트 출신인 케이시는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성과 처리 속도 개선을 연구하는 MIT의 ‘디지털 화폐 이니셔티브(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현상, 블록체인 2.0’, ‘트루스 머신(블록체인과 세상 모든 것의 미래)’ 2권의 베스트셀러를 썼다. 케이시는 “탈(脫)중앙집권화는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이라면서 “신용도가 낮아 경제활동을 하지 못했던 개인들도 블록체인 시대에서는 얼마든지 금융거래가 가능해졌다”고 강조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의 투명성 덕분인데 물론 치명적 단점도 존재한다고 케이시는 말한다. 그는 “입력한 정보를 수정할 방도가 없기에 거짓된 정보에 대한 검열도 어렵다”면서 “블록체인 이용자들 간 자발적인 신뢰가 구축되지 않는다면 범죄에 남용될 여지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시대 블록체인 기술이 수백억대의 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면 더 위험하다. 케이시는 대안으로 “비용을 물리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신뢰가 형성될 수 있게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록체인은 금융거래뿐 아니라 기업의 물류 및 공급체인 관리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케이시는 “공공거래 장부(블록체인)는 그동안 복잡했던 거래 방식을 단순화해 비용 절감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케이시는 “비트코인이 달러, 원 등 통화 수단으로 자리잡기 위해선 가격 변동성을 좁히는 게 필수적”이라면서 “지금은 시장 규모가 워낙 작아서 그런 현상이 발생했는데, 기관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규제가 만들어지는 등 인프라스트럭처가 갖춰지면 안정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10-19 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