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희진·이근아 기자의 아무이슈] 베이비붐 세대 아버지의 한숨
사상 초유의 비대면 추석을 앞두고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 아버지들의 한숨이 늘었다. 이동 없는 명절 연휴를 어떻게 쪼개 보내야 할지 막막하다는 호소가 많다.
박모(62)씨는 특별할 게 없는 이번 추석이 전혀 기다려지지 않는다. 아들 부부가 오지 않기로 하면서 부인이 명절 음식도 하지 않겠다고 일찌감치 선언했다. 박씨는 “손자가 태어나면서 그나마 손자 덕분에 명절마다 온 가족이 자연스럽게 뭉쳤는데, 코로나19가 야속하다”면서 “아내의 삼식이(은퇴 후 삼시 세끼를 집에서 먹는 남편) 취급도 불편하고 이래저래 연휴가 길게만 느껴진다”고 했다. 최모(60)씨는 자식들 눈치도 보인다. 그는 “명절 때 같이 시간을 보내자고 했다가 핀잔만 들었다”면서 “아내 눈치, 자식 눈치에 불안감과 초조함을 느낀다. 가장의 권위까지는 바라지도 않는다”고 토로했다.
실제 우울감을 호소하는 아버지들이 적지 않다. 서울신문 아무이슈 팀이 베이비붐 세대의 아버지 49명에게 ‘최근 일주일간 우울한 감정을 느낀 적이 있느냐’고 물었더니 17명이 ‘그렇다’고 답했다. 그 이유(중복 응답)로는 돈(17명), 가족 등과의 소통 부재(15명), 은퇴로 인한 소속감 부재(10명) 등의 답변이 많았다. 베이비붐 세대의 아버지들이 가장의 역할을 경제적 부분에 한정 짓는 경향이 있다 보니 은퇴 후 수입이 줄면서 자신감을 잃고 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런 우울감은 가족의 전통적 개념이 강조되는 명절이면 더 커진다.
전통 가족제도에 기대 권위를 확인해 온 아버지들은 비대면 추석이 특히 난감하다. 올 추석에는 제사를 지내지 않기로 했다는 서모(58)씨는 “제사도 안 드리고 친척들도 모이지 않으니 명절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면서 “가장으로서의 최소한 역할마저 박탈당한 기분”이라고 말했다. 추석 당일 가족끼리 간단한 식사만 하기로 한 김모(57)씨는 “명절 차례를 없앨 때가 되지 않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 보게 된다”면서 “그게 시대 흐름이라면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느냐”고 씁쓸해했다.
코로나19가 상상도 못할 사회변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전망은 시간이 갈수록 곳곳에서 현실이 되는 분위기다. 가부장제 중심의 명절 문화도 예외일 수 없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수직적·권위주의적 가족 구도 속의 아버지들은 코로나19가 예기치 않게 가속화시킨 수평적 분위기에 소외감을 더 강하게 느낄 수 있다”면서 “자녀들에게 먼저 다가가 속마음을 털어놓고 변화에 적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베이비붐 세대 아버지들도 코로나 시대의 프레퍼(Prepper·재난이나 사고에 스스로 대비하는 사람들)가 돼야 한다는 얘기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2020-09-30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