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폭탄’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왜 위험할까 [강주리 기자의 K파일]

‘시한폭탄’ 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왜 위험할까 [강주리 기자의 K파일]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0-11-05 15:43
수정 2020-11-05 16: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日정부, 100만t 이상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 여부 곧 결정… 2022년 10월 저장탱크 꽉차

삼중수소, 극소량도 DNA손상·암 유발
탄소14, 유전적 돌연변이를 일으켜

日, 삼중수소·탄소14 정화 기술 없어
후쿠시마 오염수 삼중수소 농도 기준치 9배

“국제해양재판소 회부 등 적극 대응해야”
이미지 확대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철회하라”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철회하라” 대학생 기후행동 회원들이 지난달 20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방류 철회’를 요구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지난 9월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폐로 작업이 진행 중인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지난 9월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가 났던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폐로 작업이 진행 중인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마셔도 되나?”(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희석하면 마실 수 있다.”(도쿄전력 관계자)

지난 9월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한 스가 총리가 원전 오염수를 정화한 물을 보며 나눈 대화다. 이달 3일 아사히신문은 이 일화를 소개하며 “마실 수 있다면 해양 방출 등을 하지 말고 도쿄전력과 경제산업성에 음료용으로 사용하면 어떤가”라고 꼬집었다.

일본 정부가 조만간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오는 100만t 이상의 방사능 오염수의 바다 방류 여부를 결정한다. 당초 지난달 27일로 예정됐으나 일본 내 안전 우려가 폭증하면서 연기됐다. 그러나 시간문제로 보인다. 스가 총리는 같은 달 21일 기자회견에서 “오염수 처분을 언제까지 미룰 수 없다”고 밝혔다. 일본의 원전 방류 왜 위험할까.

원안위원장 “오염수 처리된 물도
세슘 등 70% 이상 오염 상태”
본격적인 방류 시점은 오염수 육상 저장탱크(137만t)가 다 차는 2022년 10월쯤이 될 전망이다. 일본은 다핵종제거설비(ALPS)로 62종의 방사능 오염물질을 정화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발암물질로 불리는 ‘삼중수소’(트리튬)와 유전적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탄소14’는 제거가 안 된 것으로 판명돼 해양 환경 파괴에 따른 주변국들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14 처리는 애초에 ALPS의 정화 설계에 없다.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는 처리된 물에도 세슘 등이 포함돼 70% 이상 오염된 상태”라면서 “해양에 방류하면 방사성 삼중수소의 해양 확산은 피할 수 없는 일”이라고 경고했다.

5일 학계에 따르면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는 물분자보다 크기가 훨씬 작고 화학적 성질도 같아 물에서 분리할 수 없다. 바다에 방류할 경우 그대로 해양 생물을 오염시킨다는 의미다. 후쿠시마 원전 내 오염수 삼중수소 농도는 ℓ당 평균 58만㏃로 일본 배출 기준치인 ℓ당 6만㏃보다 9배 이상 높다.
2011년 3월 15일 도쿄전력이 찍은 후쿠시마 원전 3호기의 모습.  도쿄전력
2011년 3월 15일 도쿄전력이 찍은 후쿠시마 원전 3호기의 모습.
도쿄전력
이미지 확대
30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20. 7. 30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30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2020. 7. 30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日언론 “방출 총량 규제 없어 환경 피해
300명 숨진 미나마타병 교훈 잊었나”
“오염도 낮춰도 방출 총량 같아
생태계 악영향 불가피”


수산물 섭취 등 음식이나 공기를 통해 몸에 들어온 삼중수소는 소량으로도 DNA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치명적이다. 삼중수소가 인체 내 정상 수소를 밀어내고 핵종 전환을 일으키면 유전자가 변형되고 세포를 파괴시켜 각종 암을 유발하거나 생식기능을 저하시킨다.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은 지난 9월 기준 123만t 규모인 오염수의 농도를 법정 기준치 이하로 낮춰 20~30년에 걸쳐 태평양에 배출하겠다는 입장이다.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킨 원자로 내의 용융된 핵연료를 식히는 순환 냉각수에 빗물과 지하수가 유입돼 섞이면서 오염수가 하루 160~170t씩 나왔다. 그나마 올해는 다소 줄어 140t씩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도쿄신문은 “방출 총량 규제 없이 노심 용융 사고를 일으킨 원전 오염수를 장기간 흘려 보낼 때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며 “화학폐수 희석 능력을 과신하다 300명이 넘게 숨진 ‘미나마타병’(수은 중독성 신경질환) 교훈을 잊었느냐”고 비판했다.

오염 농도를 낮춰도 오랜 기간 방류하면 총량은 같아져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우려다. 마이니치신문은 “지난 6월 말 기준 도쿄전력의 처리 과정을 거친 오염수 110만t 중 70% 이상이 방출 기준치를 넘겼고 삼중수소를 빼고도 이 중 6%는 100~2만배의 높은 방사성 물질 농도를 보였다”고 질타했다.
일본 역사상 최악의 원전 참사로 기록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지난 11일로 8주년을 맞았다. 후쿠시마 제1 원전 2·3호 원자로 부근에서 지난달 18일 한 관계자가 든 계측기에 시간당 54.0마이크로시버트(μSv)의 방사능 수치가 표시되고 있다. 앞서 일본 정부는 방사능 오염제거 장기 목표치를 시간당 0.23μSv로 설정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역사상 최악의 원전 참사로 기록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지난 11일로 8주년을 맞았다. 후쿠시마 제1 원전 2·3호 원자로 부근에서 지난달 18일 한 관계자가 든 계측기에 시간당 54.0마이크로시버트(μSv)의 방사능 수치가 표시되고 있다. 앞서 일본 정부는 방사능 오염제거 장기 목표치를 시간당 0.23μSv로 설정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오염수를 담아둔 대형 물탱크가 늘어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 오염수를 담아둔 대형 물탱크가 늘어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삼중수소 반감기 12.3년
탱크 보관 뒤 방류도 있지만
日비용 문제로 바다 방류 고집
해양방류 370억 vs 대기방출 3770억

일본 가나자와대와 후쿠시마대 연구에 따르면 일본의 오염수가 동해로 유입되기까지는 1년 정도가 소요됐다. 그러나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최근 독일 헬름홀츠 해양연구소와 분석한 자료에서는 극소량의 세슘이 불과 한 달 만에 제주도와 서해에 도달했다. 불안감이 커지면 시장에서는 수산물 소비가 급감하고 수산업계가 침체되는 등 경제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삼중수소의 방사능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12.3년인 만큼 탱크에 일정 기간 보관한 뒤 오염도가 줄었을 때 방류하는 대안을 제시했지만 일본 정부는 비용 등을 이유로 해양 방류를 고집하고 있다.

일본 ALPS소위원회는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경우 34억엔(약 370억원)이면 충분하지만 대기에 방출하면 349억엔(약 3770억원)으로 10배 이상이 든다고 보고 있다. 오염수를 저장 탱크에 보관하는 방법도 있지만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더 이상은 지을 공간이 없다고 버티고 있다.

정부가 일본을 향해 방류 기준 강화나 정보 공개 등을 압박하는 수준을 넘어서 외교적 대응과 함께 국제해양재판소 회부 등 보다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일본은 지난 4월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오염수 방류 계획의 타당성을 인정 받았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일본산 수산물에 방사능이 극미량이라도 검출시 반송하는 등 검사를 강화해 안전한 먹거리를 지키겠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2017년 10월 선거운동차 원전사고가 발생했던 후쿠시마에 들러 후쿠시마산 쌀로 만든 주먹밥을 시식하고 있다. 2017.10.10  EPA 연합뉴스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2017년 10월 선거운동차 원전사고가 발생했던 후쿠시마에 들러 후쿠시마산 쌀로 만든 주먹밥을 시식하고 있다. 2017.10.10
EPA 연합뉴스
2013년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반대를 요구하며 집회하는 시민들
2013년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반대를 요구하며 집회하는 시민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미지 확대
■ 강주리 기자의 K파일은 강주리 기자의 이니셜 ‘K’와 대한민국의 ‘K’에서 따온 것으로 국내에서 벌어진 크고 작은 이슈들을 집중적으로 다룬 취재파일입니다. 주변의 소소한 일상에서부터 시사까지 독자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서울신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