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당내 경선 2차 TV토론 도중 “오바마 건강보험을 더-더-더-더-더욱 강화하기 위해”라고 말해 폭스 뉴스는 “뇌에서 입에까지 적절한 단어가 힘들고 위태롭게 여행했다”고 비아냥댔다. 한 달 뒤에는 자신이 보좌했던 전직 대통령의 이름을 대지 못해 “내 상사”라고 내뱉었다가 나중에 “버락 오바마”라고 주워 담았다. 이따금 시공간을 혼동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 보수진영 인사들로부터 ‘노망들었다’는 핀잔을 듣는 것도 실은 말더듬이 장애 때문에 빚어진 일이었다.
그런데 온라인 전당대회 마지막날, 그의 개인적 약점을 인간 극복의 드라마로 바꾼 장면이 연출됐다. 지난 2월 뉴햄프셔주 유세 도중 바이든을 만났던 13세 소년 브레이든 해링턴이 화상 연결로 등장, 그가 말더듬이로 같은 아픔을 겪었다는 점을 털어놓으며 예이츠의 시 구절을 소리 내 읽어보고 미리 끊어 읽을 대목을 표시해 두면 더듬거리지 않을 수 있다고 조언해줘 커다란 도움이 됐다고 소개했다. 해링턴은 자신처럼 말을 더듬어 자존감이 떨어지는 아이도 부단히 노력하면 미국 부통령이란 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용기를 갖게 됐다고 바이든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해링턴은 “바이든을 만났지 않았다면 오늘 이렇게 여러분에게 당당하게 얘기할 수도 없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그로부터 돌봄을 받았다며 미국과 세상이 더 나아지고, 더 돌봄을 받는다는 느낌을 얻으려면 바이든에게 한 표를 던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워싱턴DC의 스피치 강사로 바이든을 도왔던 마이클 쉬언은 지난 1월 잡지 ‘애틀랜틱 먼슬리’에 몇 년 전 바이든이 전화 자동응답기에 남긴 메시지를 소개했다. “지금 손녀랑 영화 ‘킹스 스피치’를 보고 있는데, 당신 생각이 났소. (영국 국왕인) 조지 6세가 말을 더듬는 걸 모두가 아는데, 수많은 군중 앞에서 연설하려면 얼마나 많은 용기가 필요한지, 그리고 그 연설이 얼마나 많은 이에게 용기를 줬는지, 오, 하나님! 그 가라앉는 기분, 블랙홀로 빨려들어가는 느낌을 나도 잘 알아요.”
미국 언론은 진솔하게 약점을 드러내 두 달 남짓한 대선기간에 쏟아질 트럼프 캠프의 비아냥과 공격을 미리 잠재웠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 관점보다 장애를 가진 이들의 두려움을 없애고 용기를 심어준 찬조 연설이었다고 보는 게 더 상식적이지 않을까.
2020-08-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