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중국 책임론을 본격 거론했다. 앨릭스 에이자 보건복지부 장관은 화상 연설을 통해 “이 발병을 숨기려는 명백한 시도에서 최소한 한 회원국이 투명성 의무를 조롱했다”고 비난하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정보 공유와 투명성 증진이라는 핵심적 임무를 이행하는 데 실패했다. 현상 유지는 용납할 수 없다. WHO는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총회 연설을 하지 않았다. 그 이유를 묻는 백악관 취재진에게 “미국은 (WHO에) 연간 4억 5000만 달러(약 5400억원)를 내고 중국은 3800만 달러를 내는데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며 WHO를 중국의 꼭두각시라고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뒤에 “WHO가 실질적 개선을 이루지 못하면 미국의 자금 지원을 영구 중단하겠다”고 경고하는 서한을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에게 보냈음을 트위터에 공개했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직접 방어막을 쳤다. 연설에서 “우리는 개방성, 투명성, 책임감을 갖고 행동해 왔으며 WHO와 각국에 정보를 제공해 왔다. 또 가능한 한 가장 이른 시일에 염기서열을 공개했고 세계와 치료경험을 공유했다. 우리는 필요한 모든 국가들을 지지하고 지원하기 위해 모든 것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시 주석은 “코로나19 조사는 WHO 주도로 진행돼야 한다”며 “앞으로 2년 동안 20억 달러를 국제 원조에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전투는 전방위적으로 전개될 조짐이다. 중국은 WHA 결의안 초안을 주도한 호주에 대해 호주산 보리에 반덤핑 관세를 물리는 경제 보복 조치를 내렸다. 홍콩과 대만도 미중 간 전장(戰場)이 돼 가는 분위기다. ‘코로나19와의 싸움’보다 이 다툼이 더 장기화할 것 같다.
jj@seoul.co.kr
2020-05-2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