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명량’에 일본인과 싸우는 일본인 출신 조선 수군이 나온다. 항왜(降倭) 준사(俊沙)다. 그는 실존 인물일까. ‘난중일기’ 정유년 9월 16일에 이순신은 “항복한 왜인 준사는 안골에 있는 적진에서 투항해 온 자인데, 내 배 위에 있다가 바다를 굽어보며 말하기를 ‘무늬 놓은 붉은 비단옷 입은 자가 바로 안골진에 있던 적장 마다시(구루시마 미치후사)입니다’”라고 말했다. 무상 김돌손을 시켜 갈고리로 낚아 뱃머리에 올리게 하니, 준사가 날뛰면서 “‘이자가 마다시입니다’라고 해 바로 시체를 토막 내라고 명령하니, 적의 기세가 크게 꺾였다”고 기록했다. 그러니 영화에서 이순신이 구루시마를 단칼에 목을 베는 장면은 영화적인 재미를 보탠 것이다.
일본인으로 조선의 편에서 싸운 일본인은 누구일까.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서를 뒤져보면 대표적으로 1595~1598년 3월까지 활약한 여여문(呂汝文)이 나온다. 여여문은 1595년 훈련도감에 배속돼 어린 군사를 선발해 검술과 조총술을 가르쳤다. 1598년 경주 진공 작전 때 왜인으로 변장해 정탐활동을 하는 중에 명나라 군대의 실수로 신분이 노출돼 죽었다. 선조가 그를 각별하게 후대하라고 전교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그와 함께 첩보활동을 했던 소운대(小云大)도 선조실록에 3번이나 나오고, 울산과 부산에서 정탐 활동한 구로(仇老)도 있다. 김해 김씨 이름을 받은 김충선의 일본명은 사야가(沙也可)다. 가토 기요마사의 좌선봉장이었으나 임진왜란 직후 경상도병마절도사 박진에게 귀순했다. 전공을 많이 세워 도원수 권율 등의 주청으로 선조에게 이름을 받고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다. 우록 김씨의 시조다. 김충선은 또 다른 항왜인 함박 김씨의 시조인 김성인 등과 함께 광해군 때 10년간 약 8000~1만명의 항왜군사를 이끌고 여진에 맞서 국경 경비를 맡았고, 1624년 이괄의난 진압에도 공을 세웠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항왜부대를 이끌고 청에 맞서 맹렬하게 활약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도 항왜 준사 외에 1596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었다는 풍문을 전하는 항왜 남여문(南汝文)과 야여문(也汝文) 등 투항 왜인들이 제법 등장한다. 그런데 항왜는 왜 ‘여문’으로 불리는가.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조교수는 “일본의 고대 관직명인 ‘에몬(衛門)’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선의 ‘최선달’ ‘김초시’ ‘허생원’ 등과 비슷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니 이름이 여문이라도 성이 다르면 다른 사람이라는 것이다. 항왜의 존재는 비록 무기력한 관군 탓에 임진왜란 개시 보름 만에 한성까지 뚫리기는 했지만 조선의 군사력이 결코 무력하지만은 않았다는 증거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일본인으로 조선의 편에서 싸운 일본인은 누구일까. 조선왕조실록 등 역사서를 뒤져보면 대표적으로 1595~1598년 3월까지 활약한 여여문(呂汝文)이 나온다. 여여문은 1595년 훈련도감에 배속돼 어린 군사를 선발해 검술과 조총술을 가르쳤다. 1598년 경주 진공 작전 때 왜인으로 변장해 정탐활동을 하는 중에 명나라 군대의 실수로 신분이 노출돼 죽었다. 선조가 그를 각별하게 후대하라고 전교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그와 함께 첩보활동을 했던 소운대(小云大)도 선조실록에 3번이나 나오고, 울산과 부산에서 정탐 활동한 구로(仇老)도 있다. 김해 김씨 이름을 받은 김충선의 일본명은 사야가(沙也可)다. 가토 기요마사의 좌선봉장이었으나 임진왜란 직후 경상도병마절도사 박진에게 귀순했다. 전공을 많이 세워 도원수 권율 등의 주청으로 선조에게 이름을 받고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올랐다. 우록 김씨의 시조다. 김충선은 또 다른 항왜인 함박 김씨의 시조인 김성인 등과 함께 광해군 때 10년간 약 8000~1만명의 항왜군사를 이끌고 여진에 맞서 국경 경비를 맡았고, 1624년 이괄의난 진압에도 공을 세웠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항왜부대를 이끌고 청에 맞서 맹렬하게 활약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에도 항왜 준사 외에 1596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었다는 풍문을 전하는 항왜 남여문(南汝文)과 야여문(也汝文) 등 투항 왜인들이 제법 등장한다. 그런데 항왜는 왜 ‘여문’으로 불리는가. 김시덕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조교수는 “일본의 고대 관직명인 ‘에몬(衛門)’에서 유래한 것으로 조선의 ‘최선달’ ‘김초시’ ‘허생원’ 등과 비슷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니 이름이 여문이라도 성이 다르면 다른 사람이라는 것이다. 항왜의 존재는 비록 무기력한 관군 탓에 임진왜란 개시 보름 만에 한성까지 뚫리기는 했지만 조선의 군사력이 결코 무력하지만은 않았다는 증거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8-1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