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펀’(Fun) 민방위 훈련/정기홍 논설위원

[씨줄날줄] ‘펀’(Fun) 민방위 훈련/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4-06-20 00:00
수정 2014-06-20 01: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여기는 민방위 훈련본부입니다. 훈련경계경보가 발령됐습니다. 국민 여러분은…”으로 시작하는 ‘민방위훈련 날’의 라디오방송을 모르는 국민은 거의 없다. 1972년 ‘방공·소방의 날’을 정한 뒤 달마다 들었으니 친근함으로는 이만한 게 없을 듯하다. 오늘도 40년 전과 같은 민방위 훈련이 실시된다. 394번째의 ‘사이렌’도 울린다. 세월호 침몰사고 이후 첫 훈련이니 남다른 면도 있다. 1980년대의 사이렌 소리는 국민의 가슴을 철렁 내려앉게 했었다. 북한 전투기의 귀순과 중국 민항기 불시착이 잇따랐던 때다.

민방위 훈련이 걸어온 길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다. 때 되면 하는 의례적 행사로 전락한 지 오래다. 억지로 참석한 교육장은 조는 장소이고, 훈련은 ‘보여주기’와 ‘강 건너 불구경하는’ 식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30대의 60%가 민방위 훈련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 지난달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있었던 화재 대피훈련은 이런 인식을 제대로 드러냈다. 입주자의 25%만 참가했고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고 잡담하며 시간을 때웠다. 이러니 아파트 베란다에 위급할 때 옆집으로 대피하는 칸막이벽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는 민방위 본부입니다”는 식으론 한계가 분명함을 보인 사례들이다.

최근 한 대학에서 설문 조사를 했더니 83.9%가 ‘민방위 교육과 훈련이 실생활에 도움이 안 된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지금의 민방위 교육과 훈련의 매뉴얼에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 과정에 ‘펀’(fun·재미)이 없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학교 공부가 그렇듯이 흥미가 가미된 체험은 오래 남는다. 예비군 훈련장에 서바이벌 게임을 도입했더니 강의와 훈련 시간에 조는 사람들이 상당히 줄었다고 한다. 재난 캠페인과 마라톤을 연결지은 미국의 ‘프리페어톤’ 행사도 비슷한 좋은 본보기다. 행사내용이 축제를 즐기는 것과 같아 주민 참여율이 상당하다고 한다.

도시화와 산업화로 대형 화재나 기상이변 등의 생활 재난이 늘고 있다. 위험이 닥쳤을 때 몸에 익어야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는 사실이다. 성인에게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을 줬더니 지능지수(IQ)가 5~6세 어린아이의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한다. 말 그대로 ‘훈련을 실전같이, 실전은 훈련같이’ 해야 한다는 것이다. 민방위 당국이 흥미를 돋우는 사례들을 모으고 연구해야 할 때다. 최근 재난관련 학과도 잇따라 생기니 좋은 협력 모델을 찾을 수 있다. 민방위 교육과 훈련을 지역의 각종 축제에 접목하는 것도 방법이다. ‘국민행동요령’만 읊는 민방위는 국민의 관심을 더 이상 끌 수 없는 시대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06-20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