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다불유시(多不有時)/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다불유시(多不有時)/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4-06-17 00:00
수정 2014-06-17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법정 스님의 마지막 거처는 강원도 오대산 깊은 산골의 오두막이었다. 허리에 서툴게 기와를 쌓아 멋을 낸 돌벽 해우소에는 작은 판자가 하나 끈에 걸려 있었다. 영업 중인지 아닌지 ‘open’과 ‘closed’라고 앞뒤에 적어 돌려 내거는 카페의 푯말과 비슷하다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스님은 해우소에 들어갈 때는 ‘나 있다’, 해우소에서 나오면 ‘기도하라’는 글자가 보이도록 돌려놓았다고 한다. 마치 소라의 굴처럼 둥글게 벽을 한 겹 더 둘러친 해우소는 바람이 무시로 드나들 수 있도록 문짝을 달지 않았으니 유용하게 쓰였을 것이다.

그런가 하면 금산 보석사의 해우소에는 다불유시(多不有時)라는 팻말이 걸려 있다. ‘시간은 있지만 많지는 않다’쯤의 철학적 문구인데 더욱 깊은 뜻이 있다. 화장실을 뜻하는 영어 WC(water closet)를 이렇게 표기했다는 것이다. 보석사는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義僧軍)을 이끌고 청주성을 탈환한 영규 대사가 수도한 곳이라고 한다. 유서 깊은 절의 현대적 감각을 지닌 스님의 위트가 놀랍다.

요즘엔 누구나 산중 사찰의 뒷간을 해우소라 일컫는다. 하지만 이런 표현이 생각보다 오래된 것은 아닌 듯하다. 통도사 극락암의 조실이었던 경봉(1892~1982) 스님의 조어(造語) 솜씨로 알려진다. 1950년대 어느 날 스님은 극락암의 화장실에 해우소(解憂所)와 휴급소(休急所)라는 푯말을 내걸었다. 큰일을 보는 공간을 해우소, 작은 일을 보는 공간을 휴급소라고 각각 이름붙인 것이다. 그리고는 “휴급소에서 급한 마음을 쉬어가고 해우소에서 근심 걱정을 버리고 가면 그것이 바로 도를 닦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설명했다.

경봉은 “세상에서 가장 급한 일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찾는 것인데 중생은 화급한 것은 잊고 바쁘지 않은 것을 바쁘다고 한다”면서 “해우소는 쓸데없이 바쁜 마음을 쉬어가라는 뜻”이라고 했다. 해우소는 결국 몸은 물론 마음의 근심까지 푸는 여유를 찾는 곳이다. 법정이 해우소에 들어서는 자신에게 ‘기도하라’고 다그친 것도 다르지 않은 의미일 것이다.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 다녀왔다. 요정이었던 대원각을 법정 스님이 시주받아 탈바꿈시킨 절이다. 길상사는 해우소 대신 정랑(淨廊)이라는 전통적 표현을 쓰고 있었다. 이곳은 특이하게 신고 온 신발을 갈아 신는 구조로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그 간단한 절차가 마치 세속의 공간에서 정화된 공간으로 들어서는 의식처럼 느껴졌다. 그래서 그런지 길상사 정랑은 둘러앉아 도시락을 먹어도 좋을 만큼 깨끗했다. 다른 사람의 느낌도 나와 다르지 않았다는 증거일 것이다. 깨끗하기 어려워 깨끗함을 강조한 정랑이라는 표현이 역설이 아니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6-17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