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여행(修學旅行)은 글자 그대로 학생들에게 현장학습 및 단체생활의 경험을 제공하는 교육적 목적의 숙박여행을 말한다. 근대적 교육이 실시되기 시작한 1900년대 초부터 시행돼, 1945년 광복 후 일반화됐다. 초·중·고등학교는 물론 대학교까지 수학여행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다. 근대화의 일환이자 경제적으로 어려울 때 학생 신분만이 누리는 특혜였던 셈이다. 여행지도 경주나 공주·부여, 해인사·송광사 등에서 비행기로 이동하는 제주도까지 확대됐다. 하루거리의 소풍보다 학생들이 숙박하는 수학여행을 더 좋아하는 이유는 따로 있었다. 학교 수업을 중단하고 부모의 간섭에서도 벗어나는데다 친구들과 낯선 곳에서 추억을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벼운 탈선도 빼놓을 수 없는 유혹이었다. 1970~80년대 남학생들 사이에 간신히 왕복 차비만 갖고 떠나는 무전여행이 인기를 끌었던 것과 마찬가지 맥락이다.
학생만의 특혜였던 수학여행은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 때 학생의 규모가 커지자 관리의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소득의 상승과 1988년 해외여행 허용 등이 수학여행 무용론을 불러온 것이다. 그러나 일본이 1980년대 수학여행지를 국내가 아닌 해외로 돌렸듯이 한국도 국외로 여행지를 변경해 지속됐다. 현재 수학여행은 한국과 일본에만 존재한다.
수학여행 폐지를 반대하는 이들도 적잖다. 특히 개별적 여행이 어려웠던 1960~80년대에 수학여행에서 즐거운 경험과 추억을 쌓은 학부모 세대가 그러하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수백명의 통제하기 어려운 청소년을 낯선 곳에서 몇 명 안 되는 교사의 인솔로 관리할 수 있다는 생각이 어불성설이 아닌가. 또 당시 형편없이 질 낮았던 숙박 서비스와 맛없는 음식 등이 떠오르지 않는가. 게다가 학생 단체여행은 1970년대에는 기차 탈선사고로, 1980년대 이후에는 관광버스 전복사고 등으로 많은 사상자를 내 문제가 됐다. 교육 당국은 사고 이후 늘 일시적으로 수학여행을 금지했지만, 잊을 만하면 다시 재개했고 사고는 반복됐다. 이번에 안산 단원고 학생들을 희생시킨 세월호 침몰사고가 추가됐다.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6000달러를 넘어선 상황에서 근대화의 일환으로 시작된 수학여행을 지속할 필요가 있을까? 가정에서 시간적·경제적 여유가 생겨서 가족단위의 여행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로까지 활성화됐다. 개별 학생이 신청하면 10일 안팎의 현장체험학습도 따로 갈 수 있다. 수학여행이 국내 관광사업 활성화에 꼭 필요한 요소가 아니라면, 대규모 단체 수학여행은 이제 그만두고 다른 대안을 찾을 시점이 아닐까 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학생만의 특혜였던 수학여행은 그러나 베이비붐 세대 때 학생의 규모가 커지자 관리의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소득의 상승과 1988년 해외여행 허용 등이 수학여행 무용론을 불러온 것이다. 그러나 일본이 1980년대 수학여행지를 국내가 아닌 해외로 돌렸듯이 한국도 국외로 여행지를 변경해 지속됐다. 현재 수학여행은 한국과 일본에만 존재한다.
수학여행 폐지를 반대하는 이들도 적잖다. 특히 개별적 여행이 어려웠던 1960~80년대에 수학여행에서 즐거운 경험과 추억을 쌓은 학부모 세대가 그러하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수백명의 통제하기 어려운 청소년을 낯선 곳에서 몇 명 안 되는 교사의 인솔로 관리할 수 있다는 생각이 어불성설이 아닌가. 또 당시 형편없이 질 낮았던 숙박 서비스와 맛없는 음식 등이 떠오르지 않는가. 게다가 학생 단체여행은 1970년대에는 기차 탈선사고로, 1980년대 이후에는 관광버스 전복사고 등으로 많은 사상자를 내 문제가 됐다. 교육 당국은 사고 이후 늘 일시적으로 수학여행을 금지했지만, 잊을 만하면 다시 재개했고 사고는 반복됐다. 이번에 안산 단원고 학생들을 희생시킨 세월호 침몰사고가 추가됐다.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6000달러를 넘어선 상황에서 근대화의 일환으로 시작된 수학여행을 지속할 필요가 있을까? 가정에서 시간적·경제적 여유가 생겨서 가족단위의 여행이 국내뿐 아니라 해외로까지 활성화됐다. 개별 학생이 신청하면 10일 안팎의 현장체험학습도 따로 갈 수 있다. 수학여행이 국내 관광사업 활성화에 꼭 필요한 요소가 아니라면, 대규모 단체 수학여행은 이제 그만두고 다른 대안을 찾을 시점이 아닐까 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04-2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