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 오전, 인천공항에서 일본 미야자키로 가는 비행기는 골프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200명이 넘게 탈 수 있는 보잉 767이었지만 빈자리가 없었다. 이유는 미야자키공항에 내리는 순간 곧바로 알 수 있었다. 인천에서 출발할 때는 한겨울이었지만 한 시간 반 만에 닿은 미야자키는 봄날이었다. 시와스 마쓰리(師走祭·섣달축제)가 열리는 난고손(南鄕村)은 두 시간 남짓 더 가야 한다. 북쪽으로 한 시간쯤 달리면 휴가시(市)가 나타나고, 다시 서쪽으로 한계령을 방불케 하는 산길로 한 시간쯤 올라가면 ‘백제마을’을 알리는 푯말이 곳곳에서 나타난다. 산간은 다시 겨울이었다.
백제마을의 중심에는 백제왕의 후손 정가왕이 모셔진 미카도(神門) 신사가 있다. 백제가 멸망하자 왕족들은 왜(倭)로 건너갔지만, 또다시 정변을 만난다. 당시에는 일본에서도 백제계와 신라계 귀화인의 쟁투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두 척의 배에 나누어 탄 정가왕 일행은 미야자키 북부 해안에 닿았다. 결국 정가왕은 난고손에, 세자 복지왕은 기조(木城) 마을에 자리 잡는다. 기조마을에는 복지왕을 모신 히키(比木) 신사가 세워졌다. 섣달축제는 히키 신사의 복지왕이 미카도 신사를 찾아가 아버지 정가왕과 상봉하고 기약 없이 헤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정가왕 스토리는 여전히 논란이 적지 않다고 한다. 일본 학자들은 그저 전설로 치부하는 반면 마을 사람들은 역사적 사실이 상당 부분 담긴 것으로 이해한다. 718년 창건된 미카도 신사의 존재도 역사를 뒷받침한다고 믿는다. 지자체 공무원들의 자세에서는 백제왕의 존재를 지역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열의가 느껴졌다. 실제로 부여객사를 모델로 백제관을 세우는가 하면, 일본 왕실의 유물창고 쇼쇼인(正倉院)과 같은 크기로 니시노(西) 쇼쇼인을 지어 섣달축제를 소개하고 미카도 신사의 유물을 전시한다. 지자체의 업무용 차량에도 ‘백제마을’ 로고를 자랑스럽게 붙여 놓았다.
섣달축제는 지난 24일부터 사흘 동안 열렸다. 마을의 유일한 우동집 주인은 손님을 받는 대신 문을 닫고 축제를 구경했다. 신관(神官) 역할의 주민은 정가왕과 복지왕이 살아서 다시 만날 것을 기원하며 헤어지는 장면에서 눈물을 글썽거리는 모습이었다. 들판에 불을 질러 추격군을 몰아내는 것을 상징하는 불놀이는 이미 지역의 대표 볼거리로 자리 잡은 듯했다. 그럴수록 축제 기간 한국 관광객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것이 아쉬웠다. 난고손과 섣달축제의 존재를 알았다면 반나절쯤은 흔쾌히 투자했을 골프 관광객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백제마을의 중심에는 백제왕의 후손 정가왕이 모셔진 미카도(神門) 신사가 있다. 백제가 멸망하자 왕족들은 왜(倭)로 건너갔지만, 또다시 정변을 만난다. 당시에는 일본에서도 백제계와 신라계 귀화인의 쟁투가 적지 않았다고 한다. 두 척의 배에 나누어 탄 정가왕 일행은 미야자키 북부 해안에 닿았다. 결국 정가왕은 난고손에, 세자 복지왕은 기조(木城) 마을에 자리 잡는다. 기조마을에는 복지왕을 모신 히키(比木) 신사가 세워졌다. 섣달축제는 히키 신사의 복지왕이 미카도 신사를 찾아가 아버지 정가왕과 상봉하고 기약 없이 헤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정가왕 스토리는 여전히 논란이 적지 않다고 한다. 일본 학자들은 그저 전설로 치부하는 반면 마을 사람들은 역사적 사실이 상당 부분 담긴 것으로 이해한다. 718년 창건된 미카도 신사의 존재도 역사를 뒷받침한다고 믿는다. 지자체 공무원들의 자세에서는 백제왕의 존재를 지역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열의가 느껴졌다. 실제로 부여객사를 모델로 백제관을 세우는가 하면, 일본 왕실의 유물창고 쇼쇼인(正倉院)과 같은 크기로 니시노(西) 쇼쇼인을 지어 섣달축제를 소개하고 미카도 신사의 유물을 전시한다. 지자체의 업무용 차량에도 ‘백제마을’ 로고를 자랑스럽게 붙여 놓았다.
섣달축제는 지난 24일부터 사흘 동안 열렸다. 마을의 유일한 우동집 주인은 손님을 받는 대신 문을 닫고 축제를 구경했다. 신관(神官) 역할의 주민은 정가왕과 복지왕이 살아서 다시 만날 것을 기원하며 헤어지는 장면에서 눈물을 글썽거리는 모습이었다. 들판에 불을 질러 추격군을 몰아내는 것을 상징하는 불놀이는 이미 지역의 대표 볼거리로 자리 잡은 듯했다. 그럴수록 축제 기간 한국 관광객을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것이 아쉬웠다. 난고손과 섣달축제의 존재를 알았다면 반나절쯤은 흔쾌히 투자했을 골프 관광객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01-28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