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4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된다는 보도가 나왔다.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e·GNI)을 인구(5022만명)로 나눈 수치다. 지난해(2만 2708달러·세계 49위)보다 5.9%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라고 한다. 3년 뒤에는 3만 달러 돌파도 가능하다니 반가운 일이다.
국민소득 측정지표로는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 등이 있다.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GDP)은 한 국가의 영토 안에 사는 외국인을 포함한 경제주체가 창출한 부가가치의 합이다. 국민총소득은 한 국가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이다. 자국민이 외국에서 받은 소득은 포함시키나 국내 총생산 중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은 제외된다. 1인당 국민소득은 국제비교를 위해 미국 달러화($)로 표시된다. 과거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GNP)은 GNI와 같은 개념이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객관적으로 합의된 기준은 아니지만 1인당 2만 달러는 선진국에 진입했거나 최소한 근접했다는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5년 1만 1735달러로 첫 1만 달러 시대를 맞이했다. 하지만 외환위기로 98년과 99년에 1만 달러 아래로 내려갔다가 이후 회복했다. ‘2만 달러 시대’는 2007년 2만 1632달러로 처음 문을 열었으나 세계 금융위기로 2008~2009년에는 2만 달러 아래로 내려갔다가 2010년에 2만 달러를 회복했다. 올해 1인당 GNI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경기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는데다 원화 가치가 절상돼서다. 우리나라는 현재 7년째 2만 달러선을 맴돌고 있으며 3만 달러 시대는 2016년이나 2017년에 달성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소득증가를 체감하는 직장인들은 많지 않다. 물가는 오르는데, 실질소득 증가는커녕 부채 때문에 머리 아픈 사람들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양극화 지표로 쓰이는 ‘소득 5분위 배율(5분위 가처분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5.05배로 지난해 4.98배보다 악화했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지난 3월 말 5818만원으로 지난해 조사보다 6.8% 증가했다. 특히 소득이 하위 20%인 1분위 저소득 계층의 부채는 1년 전보다 24.6% 커졌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고소득 계층의 부채는 지난해 1억 3723만원에서 올해 1억 3721만원으로 조금 줄었다. 명목상의 국민소득 확대가 개개인의 실질소득 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연결되는 게 중요한 셈이다.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국민소득 측정지표로는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소득(GNI) 등이 있다.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GDP)은 한 국가의 영토 안에 사는 외국인을 포함한 경제주체가 창출한 부가가치의 합이다. 국민총소득은 한 국가의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이다. 자국민이 외국에서 받은 소득은 포함시키나 국내 총생산 중에서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은 제외된다. 1인당 국민소득은 국제비교를 위해 미국 달러화($)로 표시된다. 과거 국민총생산(Gross National Product·GNP)은 GNI와 같은 개념이지만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객관적으로 합의된 기준은 아니지만 1인당 2만 달러는 선진국에 진입했거나 최소한 근접했다는 지표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5년 1만 1735달러로 첫 1만 달러 시대를 맞이했다. 하지만 외환위기로 98년과 99년에 1만 달러 아래로 내려갔다가 이후 회복했다. ‘2만 달러 시대’는 2007년 2만 1632달러로 처음 문을 열었으나 세계 금융위기로 2008~2009년에는 2만 달러 아래로 내려갔다가 2010년에 2만 달러를 회복했다. 올해 1인당 GNI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경기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는데다 원화 가치가 절상돼서다. 우리나라는 현재 7년째 2만 달러선을 맴돌고 있으며 3만 달러 시대는 2016년이나 2017년에 달성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소득증가를 체감하는 직장인들은 많지 않다. 물가는 오르는데, 실질소득 증가는커녕 부채 때문에 머리 아픈 사람들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양극화 지표로 쓰이는 ‘소득 5분위 배율(5분위 가처분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5.05배로 지난해 4.98배보다 악화했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지난 3월 말 5818만원으로 지난해 조사보다 6.8% 증가했다. 특히 소득이 하위 20%인 1분위 저소득 계층의 부채는 1년 전보다 24.6% 커졌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고소득 계층의 부채는 지난해 1억 3723만원에서 올해 1억 3721만원으로 조금 줄었다. 명목상의 국민소득 확대가 개개인의 실질소득 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연결되는 게 중요한 셈이다.
박현갑 논설위원 eagleduo@seoul.co.kr
2013-11-2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