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고향의 의미/손성진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고향의 의미/손성진 수석논설위원

입력 2013-09-18 00:00
수정 2013-09-1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4만㎞가 넘는 거리를 헤엄쳐서 태어난 강으로 돌아오는 연어의 모천(母川) 회귀 본능은 여전히 수수께끼다. 태어난 강의 자기장(磁氣場)에 관한 기억을 이용해 돌아온다는 가설이 현재로선 유력하다. 또 연어는 자신이 태어난 강의 냄새를 기억한다고 한다. 우리에게 연어의 모천과 같은 곳이 고향이다. 어머니의 뱃속에서 태어나자마자 처음 눕혀진 땅이므로 고향은 어머니와 같은 의미다. 고향은 산으로 들로 뛰어놀며 자란, 우리의 추억이 있는 곳이다. 고향 집이 있고 고향 사람이 있고 고향 마을이 있다. 그래서 갈 수 없는 고향은 그립고 안타깝고 아련한 존재다. 이런 감정이 깊어지면 향수병(鄕愁病)이 된다.

20세기 이전 이주가 활발하지 않았을 때는 벼슬 등을 얻어 출향(出鄕)하지 않으면 선조의 묘가 있는 고향을 평생 지키며 살았다. 그러나 6·25 이후 모든 게 달라졌다. 수많은 사람이 북에서 내려와 고향을 잃었다. 북이 고향인 실향민은 300만명이 넘는다. 북한 인구의 4분의1이다. 남한에서 살던 사람들도 먹고살기가 힘들어 고향을 등지고 서울로 몰려들었다. 서울의 인구는 1955년에 157만여명이던 게 1965년에 347만여 명, 1975년에 688만여명, 1985년에 963만명으로 급팽창했다. 올림픽을 치렀던 1988년에 1000만명을 돌파한 서울 인구는 그 이후 증가세가 둔화하였다. 서울 시민 10명 중 8명은 고향을 떠나온 사람과 그 자손들이라고 볼 수 있다.

타향살이를 하는 사람들에게 고향은 늘 가고픈 곳이다. 연어가 사력을 다해 모천을 거슬러 올라가듯 명절 때면 귀성 전쟁이 벌어진다. 기차와 버스에 짐짝처럼 실려도 귀향이라는 목표를 위해서라면 아무런 문제가 안 된다. 열 몇 시간씩 차를 운전하고 가야 하는 고통도 감내한다. 오로지 고향의 냄새를 맡고 싶은 본능적 행동이다. 민족 대이동은 올해도 변함없다. 올 추석 연휴 동안 전국의 추정 이동 인원은 지난해보다 4.9% 늘어난 3513만명이다. 이동 인원이므로 귀성객 수는 그 절반쯤으로 보면 된다.

1950년대 이후 상경해서 서울에 자리 잡은 1세대 이주자에게 고향은 뚜렷하다. 그러나 그 자손들의 고향은 어디일까. 당연히 서울로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명절이라도 귀향할 필요가 없다. 도로교통연구원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태어나 수도권에 사는 30~50대는 1990년에 262만명으로 수도권 전체의 39%였지만, 2010년엔 523만명으로 46%로 급증했다. 몇십 년 후 1세대 상경 이주자들이 대부분 사망하고 거의 서울이 고향인 사람들만 남는다면 귀성 전쟁도 사라질 게 틀림없다.

손성진 수석논설위원 sonsj@seoul.co.kr

2013-09-18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