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법원 홈페이지 먹통...이틀 만에 또 국가기관 ‘사이버 공격’

전국 법원 홈페이지 먹통...이틀 만에 또 국가기관 ‘사이버 공격’

박기석 기자
입력 2024-11-07 17:51
수정 2024-11-07 17: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후 3시 21분 공격 탐지...일시 지연 등 마비
소송 당사자 등 불편...“제출 기한 놓칠 수도”
5일 국방부·합참 등도 디도스 공격
이미지 확대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전국 법원 홈페이지가 7일 오후 디도스(분산서비스거부·DDoS)로 의심되는 공격을 받아 일시적으로 접속이 중단됐다. 이에 따라 법원 홈페이지를 통한 판결문 열람이나 소송 당사자들의 사건 진행 확인이 어려워지는 등 대국민 서비스가 일부 차질을 빚었다. 지난 5일 국방부 등 행정부와 국민의힘의 홈페이지가 디도스 공격으로 마비된 지 이틀 만에 사법부 공격까지 이어지면서 국가기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날 오후 한때 법원 홈페이지에 접속을 시도하면 아무런 화면이 뜨지 않은 채 장기간 접속이 안 되거나, 기다린 끝에 접속이 되더라도 응답 시간이 오래 걸려 내부 기능을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전국 최대 법원인 서울중앙지법 홈페이지는 오후 5시 기준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다’는 안내 문구만 떴다.

법원행정처는 “디도스로 의심되는 공격이 있으나 법원은 자체 사이버안전센터와 데이터센터를 두고 있어서 홈페이지에 대한 의심 공격을 차단 중”이라며 “오후 3시 21분쯤 공격 탐지를 시작해 즉시 차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특정 사이트에 대한 접속 폭주로 후순위 이용자의 접속이 일시 지연되는 상황이 간헐적으로 생기고 있다”고 덧붙였다. 디도스 공격은 웹사이트나 온라인서비스에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사이버 공격 방식이다.

다만 전자소송이나 법원 내부망, 인터넷 등기소 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법원행정처는 “법원 내부망은 인터넷과 차단돼 있어 공격 대상이 아니고 원활하게 서비스 중”이라고 설명했다.

사건검색 등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원 홈페이지 접속이 일시 중단됨에 따라 소송 당사자들과 민원인들이 불편을 겪었다. 일각에서는 전자소송 홈페이지도 접속이 원활치 않았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항소장 제출 기한이 오늘이었는데 홈페이지 마비로 제출하지 못했더라면 구제받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5일에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환경부, 행정안전부 산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국민의힘 홈페이지가 디도스 공격을 받아 접속되지 않다가 복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공격 주체가 단일한 친러 성향의 해킹 그룹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앞서 법원 전산망에 대한 북한 해킹조직의 침투로 2년 넘게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실이 지난해 말 뒤늦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대법원은 지난해 2월 내부 전산망에 악성코드를 탐지해 차단했음에도, 해킹 공격 사실을 신고하는 등 후속 조치는 밟지 않고 국가정보원의 기술 지원만 요청했다. 지난해 11월 언론에 유출 사실이 알려지면서 대법원은 뒤늦게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했다.

이후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 5월 정부 합동조사 결과 북한 해킹조직 ‘라자루스’로 추정되는 집단이 2021년 1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대법원 전산망에서 개인정보 등 총 1014GB(기가바이트)의 자료를 빼낸 사실을 발표했다. 천대엽 법원행정처장은 지난 3월 사법부 전산망 해킹과 관련해 사과하며 “보안역량 강화를 위한 종합대책 수립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법원행정처는 “사법부도 국가정보원, 국가수사본부 등의 기관과 긴밀히 공조하며 대응 중”이라며 “디도스는 이번같이 큰 규모로는 올해 처음이고 근래에도 많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