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방항암’ 끝냈으면”…전공의 복귀 길 열렸지만 재발 방지책 절실한 환자들

“‘가방항암’ 끝냈으면”…전공의 복귀 길 열렸지만 재발 방지책 절실한 환자들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입력 2024-06-05 22:07
수정 2024-06-05 22: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항암치료 밀려 지역 오가며 ‘가방항암’”
의료 공백 피해사례 설문조사 결과 발표
외래진료 지연 62%·신규환자 거부 40%
“전공의 복귀는 의문, 재발 방지책 필요”

이미지 확대
의정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5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정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5일 대구 한 대학병원에서 환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췌장암을 앓는 70대 환자가 전공의 사직으로 입원이 열흘에서 2주 정도 밀렸어요. 3월에 항암치료를 한 번 받긴 했지만, 결국 지방과 서울을 ‘가방항암’(입원이 안돼 가방에 항암제를 챙겨 통원하며 직접 치료하는 것)하며 치료받고 있습니다.”

김성주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대표는 5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의료공백으로 ‘셀프 치료’에 놓인 암 환자의 상황을 전하며 한숨을 내쉬었다. 김 대표는 “항암제를 투여하면 부작용 등 응급상황이 생길 수 있어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항암제를 맞는 게 정상이지만 지금은 그 책임을 환자와 보호자가 다 떠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전공의를 상대로 내린 각종 행정명령을 철회했지만, 환자들은 전공의 복귀에 기대를 거는 대신 날로 더해지는 환자들의 고통을 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입을 모았다.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는 이날 췌장암 환자 281명을 대상으로 한 ‘의료 공백 피해사례 2차 설문조사’ (중복응답 가능)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 10명 중 6~7명(67%)은 진료 거부를 겪었고, 절반 이상(51%)은 치료가 지연됐다고 응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입원항암’에서 ‘가방항암’으로 바꿨다고 응답한 비율도 30%나 됐다.
이미지 확대
정부가 이탈 전공의들의 사직을 허용하고 행정처분 절차도 중단한 5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이탈 전공의들의 사직을 허용하고 행정처분 절차도 중단한 5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사에 따르면, 가장 흔한 피해 사례는 진료 지연 및 거부였다. 의대 교수들이 ‘주 1회 휴진’ 등을 시행하면서 외래진료 지연(62%)이나 신규환자 진료 거부(40%) 등이 빈번히 일어났다. 항암치료가 1주 이상 지연되거나 입원실 축소로 입원 지연됐다고 응답한 비율도 각각 32%, 30%나 됐다.

김 대표는 “암과 같은 중증 질환 환자들의 고통을 덜 수 있도록 정부와 의료계는 환자 중심의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의료공백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 체계 마련 ▲과밀화 해소를 위한 대형병원 병상수 축소 ▲전공의 수급 문제 고려해 수도권 병상 허가 재검토 ▲필수 의료 전공 과정 강화 등을 요구했다.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 대표도 이날 “정부의 조치에도 대한의사협회는 총파업 관련 투표를 하고 있고, 이번 행정명령 철회 조치로 전공의가 복귀할지도 의구심이 든다”면서 “의료공백 사태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적·입법적 조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학 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회장은 “희귀질환은 진료가 가능한 교수님이 적은 만큼 전공의들이 돌아와 진료 정상화가 이루어지길 바랄 뿐이다”고 전했다.

한편 보건의료노조는 전날 정부의 결정에 대해 “전공의에게 면죄부를 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면서도 “장기화하는 의료공백을 해결하고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이룩하기 위해 내린 결단으로 이해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공의들은 진료거부를 중단하고 환자 곁으로 돌아가야 한다”면서 “의대 증원은 이미 루비콘강을 건넜다. 정부와 계속 싸운다면 피해자는 환자와 국민, 그리고 의료공백을 메우고 있는 보건의료 노동자들이다”고 말했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