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기후 평년’과 ‘이전 평년’ 비교 분석
신 기후 평년, 이전 평년보다 연평균 0.3도↑
봄과 여름 4일↑, 가을 1일↓, 겨울 7일↓
“폭염과 열대야 최근 10년 사이 급증했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새로운 기후 평년(1991~2020년)의 전국 평균 기온이 이전 평년(1981~2010)보다 0.3도 오른 가운데 봄은 6일 빨라졌고 열대야는 2일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개발원의 ‘기후평년을 통해 본 기후변화’ 보고서를 보면 새로운 기후 평년의 한국 연평균 기온은 12.8도로 이전 평년보다 0.3도 올랐다. 10년 단위로 보면 1980년대보다 2010년대가 0.9도 더 높았다. 기후 평년값은 세계기상기구(WMO)의 기준에 따라 10년 주기로 산출되는 기후의 기준값이다. 2020년까지는 1981~2010년의 기후 평년값을 사용했다.
주요 도시 기온은 전국 평균 기온의 변화 폭과 비슷하게 이전 평년보다 0.3~0.4도 올랐다. 서울의 신 평년값은 12.8도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제주는 16.2도, 부산은 15.0도로 다른 주요 도시보다 높았다. 평균 기온이 오르면서 여름철 폭염과 열대야 현상은 각각 1.7일과 1.9일 늘었다. 반면 겨울철 한파 일수는 0.9일 줄었다.
기후변화는 ‘계절 길이’에도 영향을 줬다. 신 기후 평년 기간에 봄(91일)과 여름(118일)은 이전 평년보다 각각 4일 길어지면서 2~6일 빨라졌다. 가을(69일)과 겨울(87일)은 각각 1일과 7일 짧아졌다. 계절 길이가 변하면서 봄꽃인 매화의 개화일은 이전 평년보다 5일 빨라졌고, 겨울의 시작을 나타내는 서리와 얼음의 시작은 각각 3일씩 늦어졌다.
추석 연휴인 14일 제주 서귀포시 중문색달해수욕장에서 피서객들이 서핑을 하고 있다. 폭염주의보가 발효 중인 서귀포에는 낮 최고기온이 32도를 넘었다. 뉴시스
기후변화 추세가 이어지면 여름철이 5월 초중순부터 9월 중순까지 길어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기상청 ‘기후변화 상황지도’를 보면 현재 97일 안팎인 여름철이 2050년쯤에는 117~131일까지, 2100년쯤엔 129~169일까지 늘어난다. 반면 현재 107일인 겨울철 길이는 21세기 후반에는 절반 수준인 40~82일로 짧아진다. 이에 기상청은 지난달 계절별 길이 재조정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강수량은 이전 평년과 비슷했다. 신 평년의 전국 연 강수량은 1306.3㎜로 이전 평년(1307.7㎜)과 유사했다. 다만 권역별로 보면 중부지방은 감소하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증가했다. 계절별로 보면 여름철 강수량이 710.9㎜로 이전 평년보다 12.3㎜ 줄었다. 겨울철 강수량도 0.8㎜ 줄어든 88.0㎜이었다. 반면 봄과 가을 강수량은 각 242.3㎜와 264.1㎜로 이전 평년 대비 5.7㎜와 4.4㎜ 증가했다.
이은주 기상청 국가기후데이터센터 사무관은 “이전 30년간에 비해 최근 기온 상승 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기후적 여름이 길어지고 있다”면서 “특히 폭염과 열대야가 길어지는 현상은 최근 10년간 크게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