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얼마나… ‘크리스마스 트리’ 한라산 구상나무 개화율 39% 그쳤다

올해 얼마나… ‘크리스마스 트리’ 한라산 구상나무 개화율 39% 그쳤다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4-06-17 13:26
수정 2024-06-17 1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왕관릉 그루당 85.5개 개화 최고… 성판악 8.5개 가장 적어
생육불량·수세 약화 등 여파… 4년 만에 1만 3000그루 줄어

이미지 확대
한라산구상나무 자생지. 제주도 제공
한라산구상나무 자생지. 제주도 제공
‘크리스마스 트리’로 전세계로 퍼져나간 한국의 고유종인 한라산 구상나무가 꽃을 피우지 못해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는 한라산 구상나무 자생지 면적감소와 쇠퇴현상 연구를 위해 최근 3년간 암꽃 개화상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개화하지 않은 구상나무 비율이 39%로 나타났다고 17일 발표했다.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는 한라산 영실, 성판악, 왕관릉, 방애오름, 윗세오름, 백록샘, 큰두레왓 등 7개 지역 10개소에 식생·환경변화 조사를 위해 고정 조사구를 설치하고, 100개체의 구상나무를 조사목으로 선정해 매년 개화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2022년 암꽃(암구화수)은 구상나무 그루당 평균 120개가 달렸으며, 2023년에는 평균 8.1개, 올해는 평균 14개의 암꽃이 확인됐다.

구상나무 3년간 개화량은 해거리 현상으로 보이지만 지역·고도별 차이가 확인됐으며, 결실주기 및 구과 특성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별로 왕관릉지역(2개소)은 그루당 평균 85.5개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윗세오름은 62.5개였다. 반면 성판악지역(3개소)이 그루당 평균 8.2개로 가장 적었고, 백록샘은 37.7개, 영실은 38.9개 순이었다.

개화하지 않은 구상나무 비율은 2022년 25%, 2023년 52%, 올해 39%로 나타났다. 원인은 생육불량과 수세 약화 등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올해는 5월초 개화시기에 한라산 일대 강한 바람과 폭우로 인해 암꽃 피해가 관찰돼 이후 건전열매로 생장하는 데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살아서 100년, 죽어서 100년 산다는 한라산 구상나무의 개체수는 2017년 30만 7000그루 이상에서 2021년 29만 4000그루로 4년 만에 1만 3000그루가 줄었다.

김희찬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장은 “구상나무 쇠퇴와 고사원인 규명을 위한 미기상, 나이테, 병해충, 자생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종합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며 “특히 개화량과 구과결실 등에 대한 연구는 자생지 내외 보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되는 만큼 지속적으로 추진해 보전전략을 마련해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