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립공원 23만㎡ 복원해 온실가스 316t 흡수
해양탄소습수원으로 해초지와 염습지의 기능이 조명받고 있는 국립공원공단이 올해 23만㎡를 복원해 온실가스 316t을 흡수한다는 계획이다. 복원된 염습지. 국립공원공단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16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국립공원 내 훼손된 해초지(21만 5000㎡)와 염습지(1만 5000㎡) 등 축구장(7140㎡) 32개 면적의 해양탄소흡수원을 복원한다고 밝혔다.
복원 대상지는 다도해·한려해상국립공원 15곳의 해초지와 태안해안국립공원 기지포 등 9곳의 염습지다. 공단은 복원을 통해 연간 316t의 온실가스 흡수 및 해안의 생물다양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공단은 지난 2016년부터 해양탄소흡수원 복원사업을 통해 지난해까지 18만 9385㎡를 복원해 연간 275t의 온실가스를 흡수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해 한려해상국립공원 명사항·벽련항의 해초지 복원지역을 조사한 결과 해양생물이 인근 미복원지역(17종)에 비해 약 2.9배 많은 49종이 확인됐다.
복원지에서는 어린 물고기와 알 등이 관찰돼 해양생물의 번식과 성장가능성을 반영했다. 또 염습지 복원이 이뤄진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이락사와 월차 염습지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가 8곳에서 20곳으로 늘어났다.
해초지는 쓰레기 수거를 거쳐 거머리말 이식 등을, 염습지는 해양쓰레기 수거와 외재종 제거, 염생식물 파종·이식 등의 방식으로 복원한다. 송형근 국립공원공단 이사장은 “해양탄소흡수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기후위기 대응 및 생물다양성 증진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