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에 겨울철새 생태거점 만든다

낙동강 하구에 겨울철새 생태거점 만든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8-15 11:39
수정 2022-08-15 17: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낙동강 하구 명지갯벌에 겨울철새 먹이식물 새섬매자기 식재
지난해부터 식재...지난해 5만 포기, 올해 6만 포기 목표

새섬매자기가 식재된 낙동강 하루 명지갯벌 전경
새섬매자기가 식재된 낙동강 하루 명지갯벌 전경
환경부 제공
낙동강 하구에 겨울철새들의 먹이 식물을 심어 생태 거점을 만든다.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부산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오는 16일 오후 낙동강 하구 명지갯벌에 겨울철새인 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새섬매자기를 심는다고 15일 밝혔다.

새섬매자기는 염분에 강한 사초과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바닷가 습지에 분포한다. 새섬매자기의 땅 속에서 자라는 덩이줄기는 고니, 큰고니, 혹고니 등 고니류의 주요 먹잇감이다. 명지갯벌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대표적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중 하나이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고니, 큰고니, 혹고니 등 고니류의 먹이원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명지갯벌 새섬매자기 군락지는 염분농도 불균형, 주변 난개발 등의 이유로 면적이 2005년 75만 2719㎡에서 2018년에는 26만 6184㎡로 10여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생태계 복원을 위해 낙동강 하구에 새섬매자기를 심고 군락지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는 명지갯벌과 을숙도 남단 일대에 새섬매자기 모종 5만 포기를 심었다.
새섬매자기
새섬매자기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새섬매자기 생육 시기를 고려해 매년 6~8월에 식재를 해야하는데 지난 7월에 1차로 5000포기를 심고 8월 말까지 5만 5000포기를 심어 총 6만 포기 식재가 예정됐다. 환경부는 새섬매자기 식재가 모두 끝난 뒤 생육 현황과 낙동강 하구 철새 도래 현황을 지속적으로 관측해 생태계 복원 효과를 검증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계획이다.

류연기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낙동강 하구의 안정적인 기수역 조성을 통해 하구역 새섬매자기 등 기수생태계 복원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새섬매자기 군락지 조성으로 낙동강 하구가 겨울철새 이동의 중요한 생태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