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곳당 최대 45억원 지원
2027년까지 35개교 지정
서울신문 DB
교육부는 8일 이런 내용의 ‘지역 기반의 협약형 특성화고등학교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실버사업, 전통주·전통가옥 사업, 용접, 건축처럼 지역·국가에 필요한 특수산업 분야나 지역 기반 산업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 도입된다. 지자체와 교육청, 지역 산업계, 특성화고가 함께 학생 진로 계획을 포함한 교육계획과 육성계획을 세우고 협약을 체결하면, 협약형 특성화고가 그 계획에 따라 교육 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특성화고 입학자가 최근 10년새 47% 급감하면서 지역 인력난으로 이어지는 현실을 막기 위해 도입했다. 특성화고 졸업생은 같은 지역에 정착하는 비율이 높아, 동일 권역 정착률이 평균 69%에 달한다.
교육부는 올해 3월까지 공모 신청을 받아 5월 중 10개 이내의 학교를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할 예정이다. 교육발전특구와 연계할 경우 공모 과정에서 가점을 주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자체, 교육청, 대학, 산업체 등 연합체의 준비 기간을 거쳐 내년에 본격적으로 운영을 시작한다. 운영 기간은 협약에 따라 학교별로 3~5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선정된 학교는 한 곳당 총 35억~45억원을 지원받는다.
교육부는 2027년까지 총 35개교를 협약형 특성화고로 선정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마이스터고는 졸업 후 다른 지역 산업체로 취직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어린 학생들 입장에선 진학을 결심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협약형 특성화고는 졸업 후 해당 지역 산업체에 출퇴근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학생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