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해안포 쏘던 그때… DMZ 내 초등학교의 특별한 졸업식

北 해안포 쏘던 그때… DMZ 내 초등학교의 특별한 졸업식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1-07 09:17
수정 2024-01-07 16: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DMZ 내 유일한 학교인 경기 파주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국방일보 제공
DMZ 내 유일한 학교인 경기 파주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국방일보 제공
지난 5일 경기 파주 대성동초등학교.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 해안포 해상사격을 진행하던 그 시각 이곳에서는 특별한 졸업식이 열렸다.

대성동초등학교는 우리나라 비무장지대(DMZ) 내 유일한 마을인 대성동마을의 유일한 학교다. 이날 오전 열린 대성동초등학교의 55번째 졸업식에서 김담혜·여소윤·정유화양과 박희율·신의창군이 졸업생이 됐다. 김양은 대성동 마을 주민이고 나머지는 DMZ 바깥 파주 문산읍에 산다고 한다. 이들의 졸업으로 대성동초등학교의 졸업생은 총 226명으로 늘었다.

대성동 마을은 ‘DMZ 내에 남과 북 각각 하나의 마을을 두고 거주 및 영농활동을 할 수 있다’는 6·25 정전협정 조항에 따라 1953년 조성됐다. 역시 DMZ 안에 있는 북한의 기정동 마을과 불과 800m 떨어졌다. DMZ 내라는 특수성 때문에 졸업식 참석자 중 상당수는 군복을 입고 있었다. 졸업식 식순에 ‘순국선열을 위한 묵념’이 들어가고 단상 위 태극기 옆으로는 성조기와 유엔기가 나란히 놓였다.

이날도 학교 교문은 한미 군인이 지키고 있었고 졸업식장인 2층 강당으로 이어지는 길목마다 군인들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졸업식에는 학부모, 파주시, 파주교육지원청, 통일부, 제1보병사단, 공동경비구역(JSA) 경비대대, 중립국감독위원회, 군사정전위원회 등의 관계자와 박정 국회의원, 김진기 파주시 부시장, 김동구 대성동마을 이장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단상 위 졸업생 5명은 쉴 새 없이 쏟아지는 상장과 기념품에 1시간 가까이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해야 했다.

최창수 육군 제1사단장은 기념품을 전달하며 “대성동초는 한미동맹의 상징인 학교”라며 “어린 학생들이 안보와 세계 평화를 위해 큰 기여를 하는 어른들로 성장하기를 기원한다”라고 축하 인사를 건넸다. 한국 측 JSA대대 민정중대 손승한 중대장은 졸업생들의 이름을 한명 한명 불러주며 “대성동초의 웃음소리는 민정중대의 존재 이유”라고 말했다. DMZ 안에 있는 학교라는 특수성을 보여주는 축사였다.

이미지 확대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국방일보 제공
대성동초등학교 졸업식. 국방일보 제공
어른들이 보기에는 안보 정신이 중요한 학교였지만 학생들은 다른 지역 학생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윤영희 대성동초 교장은 회고사를 통해 “김담혜양은 정형외과 의사, 박희율군은 유튜버, 신의창군은 체육 교사, 여소윤양은 패션디자이너, 정유화양은 바리스타를 꿈꾸고 있다”고 소개하며 “자기 장점을 그대로 살려서 자신 있고 당당하게 밝은 미래를 향해 달려가 미래의 꿈을 이루기를 바란다”고 격려했다.

김양은 “대성동초에서 우리의 추억을 남기고 이별을 맞이하는 것이 슬프지만 우린 다시 만날 것”이라며 “그 시간이 올 때까지 잊지 않기야”라고 친구들에게 말했다. 박군은 “6년이라는 시간 동안 가르쳐주시고 키워주신 부모님·선생님께 감사하고, 6학년을 함께 보낸 친구들이 정말 고마웠다”라며 “우리 6학년이 끝나도 행복하게 잘 지내자”라고 인사했다.

4학년 때 대성동초로 전학을 온 신군은 “친구들아 내가 학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친하게 지내줘서 고마워”라며 “선생님, 저를 항상 챙겨주시고 모르는 것을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여양은 “친구들아, 중학생이 돼서도 가끔 연락하며 지내자”라며 “앞으로 공부 잘하고 말 잘 듣고 부모님을 웃을 수 있게 하는 멋진 딸이 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정양은 “시간이 너무 빨리 가버린 것 같다. 지금까지 친구들도 거의 바뀌지 않아서 기억에 남는데 졸업해도 잊지 말고 또 만나자”라고 했다.

1968년 개교한 대성동초는 전교생이 10명을 넘지 못해 한때 폐교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2006년부터 공동 학구로 지정돼 다른 지역 학생의 입학을 받기 시작했다. 학년당 5명씩 전체 30명이 재학 중이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