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운의 ‘코로나 학번’ 심해진 양극화
캠퍼스 낭만 ‘잠시 멈춤’
정보 뒤처져 행사·대회 놓치기 일쑤
자취방 구했지만 비좁은 방에 갇혀
대면 수업 전환에 일부 ‘떠돌이’ 신세
비대면 수업, 낮밤 바뀌는 건 순식간
일상 지켜준 대면 수업
학생들 집중도 높아져 기초지식 쑥
취업 노하우 공유·진로상담도 병행
●“새 학기 화장실 숨어 혼밥 할까 두려워”
지난 1년간 비대면으로 수업을 들었던 김씨는 처음 얼굴을 마주하는 선후배, 동기들과 잘 지낼 수 있을지 솔직히 자신이 없다고 했다. 김씨는 24일 “최악의 경우 화장실에 몰래 숨어 혼자 밥을 먹는 ‘아싸’(아웃사이더)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면서 “코로나19 때문에 워낙 사람을 안 만나 친구 사귀는 법을 다 잊은 것 같다”고 말했다.
학교생활도 대인관계도 모두 ‘잠시 멈춤’ 상태였던 코로나 학번에게 풋풋하고 왁자지껄한 대학 생활은 다른 세상 이야기다. 단순히 추억을 쌓지 못했다는 아쉬움 차원만이 아니다. 전문 지식을 학습하고 인간관계를 넓히는 것, 새로운 도전을 하는 것 등 대학 생활이 학생들에게 자연스레 체득시켰던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면서 학생들의 운신폭 역시 좁아졌다는 분석이다.
지방에서 서울로 온 학생들도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가 컸다. 학교 근처 자취방을 구했다가 비좁은 방에 갇혀 버린 처지가 된 것이다. 일부 지방 학생은 아예 집을 구하지 않고 있다가 학교가 갑자기 대면 수업으로 전환하면서 오갈 데 없는 떠돌이 신세가 됐다고 하소연한다. 교수에게 전화를 걸어 혹시 ‘줌’ 수업도 병행 가능한지 간청했다는 학생도 있었다.
●교수 “비슷한 난도로 출제해도 격차 커”
수업을 듣는 장소가 학교에서 집으로 바뀌면서 코로나 학번의 ‘양극화 현상’도 심화됐다. 교수들 얘기를 들어 보면 비슷한 난도로 시험 문제를 출제해도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격차가 더 커졌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의 학교를 다니는 경우 집이 서울인지 지방인지에 따라, 학교뿐 아니라 가족을 통해서라도 진로 관련 정보에 접근하기 쉬운지 어려운지에 따라 격차가 커지는 건 구조적 문제로 꼽힌다.
예전에는 억지로라도 수업을 듣고자 학교를 나와야 하니 나름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서 일상을 유지했지만 온라인 수업이 주를 이루면서 일상이 와르르 무너진 학생도 있었다. 제때 일어날 필요도, 씻을 필요도, 먹을 필요도, 나갈 필요도 없게 되면서다.
곽씨는 “정해진 시간 없이 아무 때나 녹화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보니 10분, 20분씩 늦어지던 기상 시간이 어느새 오후 2시가 됐다”면서 “낮밤이 바뀌는 것도 순식간이었다”고 말했다. 2년 전 입학 당시 취미인 미술 동아리부터 경제학 학회까지 분야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활동을 하려던 곽씨의 계획도 물거품이 됐다.
곽씨는 “대부분의 동아리는 집합 인원 제한에 걸려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고 학교 행사나 대회 소식은 학과의 SNS에 조용히 올라와 마감 기한을 놓친 적이 많았다”면서 “학교에 갈 수 있었다면 친구를 만나 정보 공유를 하고 게시판에 붙어 있는 포스터도 볼 수 있었겠지만 비대면 시기라 정보력이 뒤처진 부분이 있는 것 같다”고 한탄했다.
반면 코로나19에도 대면 수업을 진행했던 2년제 대학 21학번 신민혁(20·가명)씨의 경우 수업과 친구 간의 식사 일정을 통해 규칙적인 일상의 리듬을 지켰다. 기숙사에서 룸메이트 한 명과 같이 살았던 신씨는 오전 8시에 일어나 9시부터 대면 수업을 수강했다. 오후 5시쯤 하루의 모든 수업이 끝나면 동기들과 기숙사로 돌아와 과제와 자격증 공부를 하고 오후 9시부턴 기숙사 내의 헬스장에서 운동했다.
신씨는 “확진자가 많아질 때 잠시 비대면 수업을 했는데 대면 수업보다 집중하기 어려워 기초 지식을 잘 쌓지 못했다고 느꼈다”며 “대면 수업과 기숙사 생활을 하면서 선배들에게 취업 지식을 전해 듣거나 교수님과 면담을 하면서 진로 방향도 정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년제 대학에 근무하는 한 교수는 “비대면 수업을 하다 대면 수업으로 전환한 지난해 학생들의 집중도가 높아진 걸 확실히 느꼈다”며 “대면 수업을 해야 학생들과 심리적 유대감이 형성되고 상담의 질이 좋아져 대면 수업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밝혔다.
잃어버린 2년을 누구보다 아쉬워하는 코로나 학번들은 ‘다시 대학 생활을 해 보고 싶다’고 했다. 얼마 전 수도권의 2년제 대학을 졸업한 19학번 이나라(22)씨는 “나중에라도 기회가 된다면 다시 대학 생활을 해 보고 싶은 마음이 크다”면서 “평생에 단 한 번뿐인 대학 생활을 이렇게 허무하게 보내 말로 다 표현이 안 될 만큼 아쉽다”고 말했다.
●복학생 “작년 새로 만난 인연 5명도 안 돼”
제대 후 복학을 했더니 코로나 학번이 돼 있었다는 16학번 김동현(24)씨는 “코로나19 상황 이전에는 사진 동아리 등을 하면서 저만의 대인관계 성향이나 방식을 깨우칠 수 있었는데 지난해에는 대학에서 새로 만난 인연이 5명도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복학생인 저는 취업 준비를 하면 되지만 이제 신입생인 후배들은 사람을 만날 기회도 없이 코로나19가 종식될 때쯤 졸업반이 돼 있을 것 같아 안쓰럽다”고 했다.
2022-02-25 1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