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사회과 일반선택과목에서 ‘경제’·‘정치와 법’ 제외될 수도… “민주시민 교육 약화”
고1 공통수학에 ‘행렬’ 추가 … 인공지능 기본 역량 vs 수포자 양산
교육과정 개정 논의에서 진통을 겪고 있는 대표적인 과목은 사회 교과군이다. 국가교육과정 개정추진위원회는 지난 7월 제4차 회의와 지난 9월 제8차 회의에서 “사회교과군의 고등학교 일반선택 과목을 현행 9개에서 4개 이내로 개발할 것”을 권고했다. 고교학점제 체제에서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 선택권을 실질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초 및 탐구 영역의 일반선택 과목 수를 적정화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현행 고교 사회교과군 일반선택과목은 총 9과목(생활과 윤리·윤리와 사상·한국지리·세계지리·동아시아사·세계사·경제·정치와 법·사회문화)이다. 일반선택과목에서 제외된 과목은 융합선택과목이나 진로선택과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반사회와 지리, 역사, 윤리 등 네 영역에서 각각 1과목을 일반선택과목으로 남길 경우 일반사회에서는 ‘사회문화’와 ‘경제’, ‘정치와 법’ 중 한 과목만 남게 된다. 결국 학생들이 ‘쉬운 과목’으로 여기는 ‘사회문화’가 일반선택과목으로 남고 ‘경제’와 ‘정치와 법’은 융합선택 또는 진로선택으로 옮겨가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대해 일반사회과 교수들과 교사들 사이에서는 “민주시민 교육의 근간인 경제와 정치, 법 교육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강대현 전북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일반사회 교과의 수업 시수가 부족해 민주주의와 인권, 시장경제 등 필수 내용을 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고교 교육과정에서 민주시민교육과 경제교육이 필수 교육 내용이 아닌 소수의 학생들만 배우는 내용으로 축소되고, 해당 진로를 탐색하는 학생들조차 정보가 부족해 경제와 정치, 법 과목을 제대로 듣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교육과정 개정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일반사회 영역 정책 연구진과 한국사회과교육학회는 사회교과군 네 영역에서 각각 1과목씩 감축해 일반선택과목을 총 5과목으로 줄이자는 절충안을 제시했다. 일반사회 교과의 일반선택과목으로 ‘사회와 문화’, ‘정치와 경제’를 개설한다는 구상이다.
수학 교과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이 ‘행렬’을 필수로 배우도록 하는 방안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진은 고등학교 1학년이 배우는 수학을 ‘공통수학1’과 ‘공통수학2’로 나누고 ‘행렬’ 단원을 추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기본이 되는 행렬에 대한 교육을 고교 단계에서 강화해야 한다는 게 연구진이 설명이다. ‘행렬’이 추가되는 대신 ‘경우의 수’는 일반선택과목으로 옮겨간다. 행렬 단원은 2007 개정교육과정까지 ‘수학1’에 포함돼 인문계열 학생들도 배웠으나,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부터 고급수학으로 변경돼 현재는 과학고 등 특수목적고에서만 배우고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 분야를 전공하지 않을 학생들까지 행렬을 필수로 배우도록 해 학습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최수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수학교육혁신센터장은 “행렬은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수학적 사고력보다 연산에 가깝다”면서 “인공지능 분야를 전공할 학생들이 아닌 모든 학생들이 배워야 할 보편 소양으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고교 수학 교육과정에 도입된 선택과목인 ‘인공지능 수학’에서 충분히 다룰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와 국가교육과정 개정추진위원회는 22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열어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 온라인으로 생중계되는 공청회에는 연구자들이 총론의 주요사항과 초·중·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선 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초·중·고 교원 5명과 학생·학부모, 전문가들이 지정토론을 벌인다. 교육부는 각계 의견을 수렴해 다음달 2022 개정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안)을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