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서울의 한 중학교에 등교하는 학생들의 모습 자료사진. 연합뉴스
전북교육청은 지난 24일부터 ▲학생 수 600명 이하 학교 ▲600명 초과 700명 이하이면서 학급당 학생 수 25명 이하인 학교 ▲읍면단위 농산어촌 학교를 대상으로 전면 등교를 허용했다. 이에 따라 거리두기 2.5단계에도 1176교(93.6%)가 전면 등교를 할 수 있게 됐다.
제주도교육청은 24일부터 학생 수 900명 이상의 초등학교와 700명 이상의 중·고등학교인 과대학교는 밀집도 3분의 2를 준수하고 나머지 학교는 전면 등교하도록 했다. 경북교육청은 학생수 1000명 이하 학교는 1.5단계까지 전면 등교를 허용했다. 이에 따라 관내 학교의 90.5%가 이번주부터 전면 등교하고 있으며, 급식 등의 준비가 마무리되면 다음주부터는 모든 학교에서 전면 등교가 가능해질 것으로 교육청은 보고 있다. 2학기 전면 등교에 앞서 각 교육청들이 지역 여건에 따라 선제 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여전히 거리두기 2단계를 유지하고 있는 수도권은 소규모 학교와 특수학교를 제외하면 학교 밀집도 ‘3분의 1’을 준수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부분 등교가 세학기째 이어지면서 수도권 지역의 학생들이 등교 일수에서 손해를 보고 있다는 불만도 커지고 있다. 정찬민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지난 1학기 초등학생들의 평균 등교일수는 서울 11.6일, 경기 17일, 인천 16일에 그쳤으나 지방은 50일 안팎이었다.
교육부가 9월 전국에 걸쳐 전면 등교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수도권에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과대학교·과밀학급이 밀집한데다 매일 신규 확진자의 절반 이상이 발생하고 있어 학교 방역에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 노원구에서 초등학생 자녀를 키우는 학부모 A(40)씨는 “2학기 전면 등교 소식을 듣고 반가웠지만 한 반에 29명인 학생들이 교실에 빽빽하게 들어차는 상황에 대해 학부모들 사이에서 걱정이 많다”면서 “과밀학급이라고 예외를 두기보다 어떻게든 최대한 등교하게 해달라는 이야기가 많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기간제 교사 2000여명을 투입했지만 교실이 부족해 대부분의 학교에서 과밀학급을 분반하지 못하면서 보다 실현 가능한 방안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조성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방역당국의 판단에 따라 전면 등교가 가능해진다면 반가운 일이지만, 수도권의 과대학교·과밀학급의 방역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면서 “전면 등교 방침을 던져놓기만 할 게 아니라 현실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까지 당국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