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핀란드 교육 국제 세미나
엘리나 레토 헤그로트 핀란드 반타시 교육위원장이 지난 30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개최된 ‘2018 한국·핀란드 교육 국제 세미나’에서 핀란드 교육제도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서울교육청 제공
서울교육청이 지난 30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개최한 ‘2018 한국·핀란드 교육 국제 세미나: 학교 자율로 미래교육을 디자인하다’에서는 핀란드 교육정책이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입과 취업, 중앙집권적 교육행정 등이 먼저 개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엘리나 레토 헤그로트 핀란드 반타시(市) 교육위원장은 “핀란드는 지자체와 각 학교에 자율성을 최대한 부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특징”이라면서 “1990년대부터 정착된 이 같은 교육 시스템이 지금의 핀란드 교육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일반적으로 교육청이 특정 교육제도를 앞세워 정해진 예산을 각 학교에 배분하는 방식이라면, 핀란드는 각 학교에 예산을 우선 배분한 뒤 운용 권한은 학교에 부여한다는 것이다. 헤그로트 위원장은 표준화는 시대에 뒤떨어진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오늘날에는 학생들의 개별 학습 방식과 다양한 배경을 존중해야 평등한 학습을 이룰 수 있다”면서 “핀란드의 새로운 교육 과정은 개별화 방식에 맞춰 구축된다”고 말했다. 헤그로트 위원장은 과목별로 분리해 수업을 듣고 수료할 수 있는 핀란드의 ‘모듈형 수업’ 방식을 예로 들었다. 고등학교에서 예술과 디자인 분야 강좌만 40개를 개설해 운영한다거나, 매 학년 초 어느 과목을 개설할지 교직원이 협의해 결정하고, 학생들이 개인별 강좌를 선택한 뒤 각자의 시간표를 갖고 학교를 다니는 식이다.
조남규 난곡중 교사는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핀란드의 모듈식 교육과정이 이상적이고 부럽다”고 말했다. 조 교사는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 시행된 7차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2, 3학년이 최대 63개 과목 가운데 자신이 듣고 싶은 수업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을 도입했지만 문서상으로만 존재하고 현실화되지 못했다”면서 “입시와 취업, 꽉 짜인 교육과정과 시간표, 그리고 중앙집권적 행정들이 가로막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좋은 정책과 아이디어가 없어서가 아니라 그러한 정책들이 왜 정착되지 못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없어 교육 개혁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6-01 2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