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 교육과정 수업 가보니
의견 조율·토론 능력 높아져국어시간엔 서로 묻고 답하기
“중고교까지 이어질지는 의문”
새 교과서 읽고 토론해요
30일 충남 공주교대 부설초등학교 4학년 3반 교실에서 열린 공개 수업에서 학생들이 동화책을 읽고 토론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 도입된 교과서를 이용한 이날 수업은 외부 공개 형식으로 진행됐다. 공주 연합뉴스
30일 충남 공주교대부설초등학교 3학년 1반의 사회 수업 시간. 아이들 4명으로 구성된 6개 모둠(팀)은 각자 준비해 온 ‘내 고향 이야기’를 어떻게 발표할지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놨다. 이날 수업은 올해 3월부터 초등 3·4학년에 첫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공개 토론 수업으로 열렸다. 아이들은 지난 2주 동안 발표 내용 선정부터 작성, 그리고 이날 발표까지 직접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서로 의견을 조율하고 잘 된 부분과 부족한 부분을 공유했다. 이혜원 담임 교사는 “아이들이 짝꿍 등 친구들과 의견을 공유하는 기회가 많아지면서 토론 능력도 이전에 비해 더 높아졌다”고 말했다.
같은 학교 4학년 3반의 국어 수업은 ‘칠판에 딱 붙은 아이들’이라는 동화책을 읽고 등장인물을 한 사람씩 맡아 서로의 입장을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이뤄졌다. 한 학생은 많은 카메라와 기자들에 둘러싸인 자신의 모습을 빗대어 “책 속에서 방송국 리포터인 엄마의 떨리는 마음도 이해가 간다”고 이야기 하기도 했다. 주길준 담임 교사는 “기존에 독서 수업은 책을 얼마나 읽었는지 결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면 새롭게 도입된 교과서는 책을 어떻게 읽었는지 과정에 중점을 뒀다는 게 다르다”면서 “다만 이 같은 과정 중심 수업 방식이 대학 입시가 중요해지는 중·고등학교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새 교육과정으로 바뀐 교과서는 학습량을 적절하게 줄이는 한편, 실제 배움이 일어나는 학생 활동과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경험을 단계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공개 수업을 참관한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교사 및 학부모와 현장 간담회를 열고 “새 교육과정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를 기르기 위한 의사소통과 창의적 역량 등을 키우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김연화 공주교대부설초 교장은 “교사가 새 교육과정에 맞춰 수업을 재구성하는 과정에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면서 “교육부 차원의 정보제공 및 검색 시스템 구축 등을 강화해 줬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공주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5-01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