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새끼 들어올리는 어미 남방큰돌고래의 모정… 일년새 벌써 7번째 죽음

어린 새끼 들어올리는 어미 남방큰돌고래의 모정… 일년새 벌써 7번째 죽음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4-06-02 06:33
수정 2024-06-02 06: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오후 12시 28분쯤 대정읍 일과리 양어장 인근 앞바다에서 새끼돌고래 사체를 들어올리는 어미 남방큰돌고래의 모습.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 제공
지난 1일 오후 12시 28분쯤 대정읍 일과리 양어장 인근 앞바다에서 새끼돌고래 사체를 들어올리는 어미 남방큰돌고래의 모습.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 제공
이미지 확대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 제공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 제공
이미지 확대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 제공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 제공
6월 첫 주말인 지난 1일 오후 12시 28분쯤 대정읍 일과리 양어장 인근 앞바다에서 새끼돌고래 사체를 들어올리는 어미 남방큰돌고래가 또 다시 발견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2일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에 따르면 1년새 벌써 7번째 어미 남방큰돌고래가 새끼돌고래의 사체를 들어올리는 모습이 포착됐다. 2개월에 한번 꼴로 새끼 남방큰돌고래가 죽음을 맞고 있는 셈이다.

오승목 다큐제주 감독은 “태어난 지 몇개월도 안 돼 보이는 어린 새끼 돌고래 죽음은 제주 바다환경이 남방큰돌고래가 서식하기에 점점 안 좋아지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며 “해양 쓰레기, 지나친 돌고래 근접관광 등 여러 가지 복잡한 바다 주변 환경이 얽혀 있을 것으로 보여 면밀한 조사와 관찰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태어난지 얼마 안 된 상황에서 바로 죽음을 맞이한 개체가 대다수”며 “관련 기관이 발빠른 대응을 통해 멸종위기에 놓인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안전한 서식지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4월 13일에도 남방큰돌고래가 바닷속으로 가라앉는 새끼 돌고래를 어떻게든 살리기 위해 몸부림치는 듯 사체를 들어 올리는 어미 돌고래의 모습이 목격됐다.

다큐제주·제주대 돌고래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올해 4월까지 총 6차례 새끼 돌고래의 죽음을 목격했다. 특히 늦겨울에서 봄에 집중되고 있다. 발견 지역도 일과리, 영락리, 무릉리, 신도리 등 대정읍 노을해안로 7km 구간에 집중됐다.

지난해 3월 4일, 5월 13일에 이어 8월 16일에는 대정읍 무릉리 인근 해상에서 죽은 새끼 돌고래를 등에 업고 다니는 어미 남방큰돌고래를 발견됐다. 그리고 올해 2월 28일 낮 12시 57분쯤 대정읍 일과리 앞바다에서 죽은 새끼를 끌어올리는 남방큰돌고래 한마리의 모습을 포착 됐으며 3월 4일에도 죽은 돌고래를 며칠 간 수면 위로 끌어올리거나, 등에 업은 어미 남방큰돌고래가 관찰된 바 있다.

한편 폐어구에 걸린 새끼 남방큰돌고래(종달이) 긴급구조는 이달 말까지 마무리할 전망이다. 도는 지난 5월 8일 제주돌고래긴급구조단의 구조 재허가서를 발금해줬다. 행방이 묘연했던 폐어구에 걸린 새끼 남방큰돌고래는 지난달 8일 오전 10시 30분쯤 한경면 고산리 소재 양어장 앞 바다에서 활동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오 감독은 “새끼 돌고래가 폭풍성장을 했지만 주둥이에서 꼬리까지 걸린 줄이 팽팽하게 조여져 있다”면서 “통증을 줄이기 위해 몸을 한쪽으로 휘려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