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소설이 아닌 영화 한편 보는 듯”… ‘제주도우다’ 현기영 작가와 4·3 현장 속으로

“역사소설이 아닌 영화 한편 보는 듯”… ‘제주도우다’ 현기영 작가와 4·3 현장 속으로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3-09-14 12:51
수정 2023-09-14 17: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21~22일 시민강좌서 작품 세계 조망
문재인 전 대통령 “필생의 역작” 호평
현 작가 “4·3 영령들이 명령해 쓴 책”
소설 속 조천 신촌, 와흘 등 현장 답사도

이미지 확대
필생의 역작이라 평가받는‘제주도우다’대하소설을 쓴 현기영 작가가 오는 21~22일 이틀간 제주4·3평화기념관 1층 대강당에서 특강과 대담을 나눈다. 제주4·3연구소 제공
필생의 역작이라 평가받는‘제주도우다’대하소설을 쓴 현기영 작가가 오는 21~22일 이틀간 제주4·3평화기념관 1층 대강당에서 특강과 대담을 나눈다. 제주4·3연구소 제공
“돼지 잡는 장면 등은 마치 손끝에서 잡는 장면 이상으로 상상력이 뛰어나올 정도로 너무 생생해 역사서를 읽는 것 보다 영화 한편을 보는 느낌이에요.”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은 오는 21~22일 현기영과 함께 읽는 ‘제주도우다’-여기가 제주도우다’를 주제로 2023 열린 시민강좌를 여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14일 밝혔다.

허 연구소장은 “4·3을 모르는 사람들이 읽으면 맥락을 이해하게 되고 당시 청년들의 의식을 따라갈 수 있는 4·3 교과서 같은 소설”이라며 “요즘 세대들이 무거운 책을 읽는 걸 좋아하지 않지만, 이 책은 선생이 4·3 이후에 우리 세대들에게 주는 필생의 선물인 것 같다”고 강조했다. 소설 ‘제주도우다’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후의 혼란스러운 시대적 상황과 4・3에 이르기까지 당시의 언어와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작가 특유의 세밀한 묘사와 미학적 서사로 완결해낸 대하소설이다.

‘평산책방지기’로 지내고 있는 문재인 전 대통령은 “82세의 작가가 ‘순이삼촌’을 낸 지 45년 만에 이룬 문학적 성취가 놀랍다”면서 “필생의 역작이며 4·3문학의 기념비적 작품”이라고 평했을 정도였다.

4년 여에 걸쳐 ‘제주도우다’를 완성한 현 작가는 “4·3 영령들이 내게 명령해 쓴 책이다. 3만 원혼을 위한 공물”이라며 “이번 책은 내 마지막 4·3 작품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제주4·3연구소와 제주4·3평화재단이 준비하는 이번 시민강좌는 작가의 특강을 통해 4・3의 전사와 우리가 몰랐던 소설 속 배경을 들을 수 있는 자리다.

21일 첫째날은 ‘4・3항쟁의 전사’를 주제로 현기영 선생의 특강으로 진행된다. 저자의 ‘변방에 우짖는 새’ ‘바람타는 섬’ 등을 통해 ‘4・3항쟁의 전사’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이튿날인 22일에는 ‘제주도우다 깊이 읽기’. 작품의 탄생과 배경, 당시 4・3의 제주섬을 살았던 청년들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본다. 허 연구소장이 대담 진행을 직접 맡아 소설책에 나오는 궁금증을 묻고 답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특히 이번 강좌에서는 제주의 소리꾼 문석범(21일)과 뚜럼 브러더스(22일)가 출연, ‘제주도우다’에 등장하는 수많은 노래 곡 중 몇 곡을 선정해 부른다.

허 연구소장은 “특히 책에 수십곡의 노래가 등장하는데 ‘가거라 삼팔선아’, ‘산타루치아’, 말모는 소리 등 당시 노래들을 그냥 읋는게 아니라 그 시름을 달래주던 노래를 이어 개사해 부르며 흥미를 더욱 유발시킨다”고 전했다.

그는 “‘산~타~아 루~치아를 ‘쌀~타~러 가자’는 식으로 부른다”면서 “4·3 때 살아남은 노인(안창세)의 목소리로 그가 살아낸 일제강점기부터 4·3까지 이야기를 젊은 세대에게 들려주는 회고담 형식으로 풀어낸 기념비적인 작품”이라고 덧붙였다.

다음달 21일에는 책 속의 배경이 되는 현장도 찾아 나선다. 코스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소설속 배경이 되는 조천읍(당시 조천면) 신촌리, 대흘리, 와흘리 등 중산간마을로 떠날 예정이다.

한편 작가 현기영은 1941년 제주에서 태어나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197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아버지’가 당선되어 창작활동을 시작한 이래 제주도 현대사의 비극과 자연 속 인간의 삶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작품을 선보여왔다.그는 제주4・3연구소 초대 소장,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과 한국문화예술진흥원장을 역임했으며, 만해문학상 신동엽문학상 오영수문학상 한국일보문학상 등을 받았다.

이번 강좌는 제주4·3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이메일(jeju43@hanmail.net)로 접수하면 된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