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피해지에서 송이버섯 인공 재배 첫 성공

산불 피해지에서 송이버섯 인공 재배 첫 성공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3-11-08 15:53
수정 2023-11-08 15: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림과학원 강원 고성 피해지에서 16년만에 확인

이미지 확대
지난 1996년 산불이 발생한 강원 고성 피해지에 2007년 옮겨 심은 송이 감염묘목에서 올해 처음 송이버섯이 나왔다. 국립산림과학원
지난 1996년 산불이 발생한 강원 고성 피해지에 2007년 옮겨 심은 송이 감염묘목에서 올해 처음 송이버섯이 나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불 피해지에서 16년 만에 송이버섯 인공 재배가 국내에서 처음 성공했다.

8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지난 1996년 산불이 발생한 강원 고성 피해지에 2007년 심은 송이 감염묘목에서 송이버섯이 나왔다. 척박한 산불 피해지에서 송이를 인공 재배한 첫 사례다. 통상 산불 피해지에서 소나무림을 조성해 송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3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산림과학원은 고성 피해지에 산림생태계 변화 연구를 위한 시험지(70㏊)를 1997년에 조성한 후 송이 재생산을 위해 홍천에서 육성한 송이 감염묘를 옮겨 심었다. 송이 감염묘는 송이가 나는 산에 어린 소나무를 심어 뿌리에 송이균을 감염시킨 후 송이가 발생하지 않는 소나무림에 이식해 생산하는 핵심 기술이다.

시험지에 감염묘를 이식한 지 16년이 지난 올해 송이가 처음 발생했는데 분석 결과 송이균 DNA와 홍천 감염묘의 송이균이 유전적으로 동일했다. 송이가 자라기 위해서는 소나무·송이균·토양 등 입지환경이 맞아야 하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산불 피해지에서 감염묘를 이용한 송이 인공 재배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산림과학원은 산불 피해지 복원 시 민가와 시설 등에서 떨어진 지역에 송이 감염묘를 포함한 소나무를 심어 산불 피해 방지 및 주민의 소득원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산림과학원 산림미생물연구과 가강현 연구관은 “송이 생산지 확대와 임업인 소득 창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송이 인공재배법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