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인 2명 중 1명이 65세 이상 노인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장애인가구 4곳 중 1곳은 1인가구였다.
보건복지부가 19일 발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추정 장애 인구는 267만명으로 전 인구 대비 장애출현율은 5.4%였다. 장애인 등록을 마친 인원은 255만명으로 12만명(4.5%)은 미등록으로 남았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49.3%) 비율이 가장 높고 다음은 청각(11.9%), 뇌병변·시각(9.9%), 지적장애인(7.9%) 순이었다. 장애 발생 원인은 질병, 사고 등 후천적 원인이 88.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인구 고령화로 장애인 중 65세 이상 노인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는 46.6%에 이르렀다. 장애인가구 중 1인가구 비율도 계속 늘어 지난해 26.4%였다.
장애인들의 건강은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 경험률은 18.6%로 전체 인구의 경험률 13.3%의 1.4배였다. 자살 생각률은 14.3%로 전체 인구 5.1%보다 4.8배 높았다. 또 성인 장애인 중 고혈압, 허리·목 통증, 골관절염,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비율은 81.1%였다. 1인당 만성질환은 평균 2.2개였다. 전체 성인 인구의 47.6%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고 1인당 평균 0.9개의 만성질환이 있는 것과는 큰 차이다.
장애인의 소득 수준은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비장애인보다는 크게 낮았다. 장애인가구 월평균 소득과 지출은 각각 242만 1000원, 190만 8000원으로 전체 가구 소득(361만 7000원)과 지출(276만 1000원)에 한참 못 미쳤다. 장애인 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율은 16.3%로 전체 인구 수급률 3.2%의 5.1배다. 15세 이상 장애 인구 대비 장애인 취업자 비율은 36.9%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보건복지부가 19일 발표한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추정 장애 인구는 267만명으로 전 인구 대비 장애출현율은 5.4%였다. 장애인 등록을 마친 인원은 255만명으로 12만명(4.5%)은 미등록으로 남았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49.3%) 비율이 가장 높고 다음은 청각(11.9%), 뇌병변·시각(9.9%), 지적장애인(7.9%) 순이었다. 장애 발생 원인은 질병, 사고 등 후천적 원인이 88.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인구 고령화로 장애인 중 65세 이상 노인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는 46.6%에 이르렀다. 장애인가구 중 1인가구 비율도 계속 늘어 지난해 26.4%였다.
장애인들의 건강은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 경험률은 18.6%로 전체 인구의 경험률 13.3%의 1.4배였다. 자살 생각률은 14.3%로 전체 인구 5.1%보다 4.8배 높았다. 또 성인 장애인 중 고혈압, 허리·목 통증, 골관절염, 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비율은 81.1%였다. 1인당 만성질환은 평균 2.2개였다. 전체 성인 인구의 47.6%가 만성질환을 앓고 있고 1인당 평균 0.9개의 만성질환이 있는 것과는 큰 차이다.
장애인의 소득 수준은 계속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비장애인보다는 크게 낮았다. 장애인가구 월평균 소득과 지출은 각각 242만 1000원, 190만 8000원으로 전체 가구 소득(361만 7000원)과 지출(276만 1000원)에 한참 못 미쳤다. 장애인 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율은 16.3%로 전체 인구 수급률 3.2%의 5.1배다. 15세 이상 장애 인구 대비 장애인 취업자 비율은 36.9%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4-20 1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