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여성 도울 수 있어 뿌듯…다문화 정책 사각지대 여전”

“다른 여성 도울 수 있어 뿌듯…다문화 정책 사각지대 여전”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18-08-12 21:06
수정 2018-08-12 2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베트남 출신 한가은 이주여성센터 사무국장

이미지 확대
한가은 한국이주여성센터 사무국장
한가은 한국이주여성센터 사무국장
결혼 이주여성이라 하면 한국말에 서툰 20대 초반 여성을 떠올리기 쉽다. 한가은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사무국장은 이런 편견을 깨는 11년차 인권 운동가다. 2005년 한국에 온 스무살의 베트남 여성 레티마이투가 ‘최고참 당사자 활동가’ 한가은이 된 과정을 들어봤다. 그녀는 “다른 여성을 도울 수 있는 것이 가장 뿌듯하다”고 말했다.

→올해 이주여성인권센터(이하 센터) 사무국장이 됐다. 처음 활동을 시작한 계기는.

-2006년 결혼 2년차에 시장에 갔다가 우연히 순댓국집 아주머니가 다른 베트남 며느리를 소개해 줬다. 그 친구를 통해 한국어 교실에 다녔다. 1년이 지난 2007년 센터에서 활동가로 일하자는 제안을 받았다. 베트남에서 일을 해 본 적도 없어 부담스러웠다. 하지만 내가 이주여성들에게 도움을 주고 나도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 하루 만에 하겠다고 했다. 귀화는 2012년에 했다.

→이주여성으로서 시민단체 활동을 하는 게 쉽지 않았을 텐데.

-당시 내가 센터에서 유일한 이주민이었다. 복사, 우편물 부치기 등 작은 일부터 배우며 적응할 수밖에 없었다. 통역을 맡으면서 상담까지 활동을 넓혔다. ‘당사자가 나서야 한다’는 무언의 압력도 있었다. 한국어 실력을 늘리려고 신문도 읽고 퇴근 후에 교육도 받았다. 강도 높은 훈련이었다.

→유일한 이주민 상담가이자 활동가로서 강점은.

-이주여성들이 마음을 더 잘 연다. 비슷한 경험도 많고 언어도 통하기 때문이다. 그들이 동질감을 느끼는 만큼 나도 그들의 요구를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인권 활동이나 캠페인에 나섰다가 전과가 남아 국적을 못 받을까봐 걱정도 했지만 강점을 살려야 한다는 생각이 더 컸다.

→한국인 상담사가 아니라서 차별받은 적은 없나.

-이주여성들의 남편이나 시댁도 사람 봐 가며 대한다. 같은 상담사라도 한국 사람보다 이주민을 얕본다. 자기 아내한테 함부로 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우리도 그냥 외국인이라고 본다. 아내를 때린 남편이 술 먹고 찾아와 행패를 부린 적도 있다. 외부 기관도 내가 사무국장인데 굳이 한국 사람을 찾는다. 이주민들이 통역만 하고 결정권을 가진 직책을 맡지 못하다 보니 그런 것 같다. 초반에는 말투 때문인지 보이스피싱 사기범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10여년을 돌아보면서 자신에게 생긴 가장 큰 변화는.

-성격이 많이 까칠해졌다(웃음). 또 활발해졌다. 내가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 내가 도운 사람들이 성장한다는 것이 가장 기쁘다. 이주여성들은 자칫 남편만 보고 살다가 고립되기 쉽다. 여러 사회적 관계를 통해 자원을 얻는 게 중요하다. 나도 연대할 수 있는 사람이 많이 생겼다. 최근에는 처음으로 이주여성들의 삶을 엮은 책 ‘아무도 모르는 이야기’를 출간했는데 뿌듯한 순간이었다.

→한국 사회와 선주민(先住民·이주민의 상대어)들이 더 노력해야 하는 부분은.

-다문화 정책이 정상 가정 위주라는 한계가 있다. 2008년 다문화가족법 제정 후 지원 체계가 많이 자리잡았고 지자체도 노력한다. 하지만 이혼 가정, 한부모 가정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있다. 선주민 교육도 부족하다. 한국 사람도 같이 적응한다는 개념을 가져야 한다.

글 사진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8-08-13 1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