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시대 고분군인 경남 함안군 함안말이산고분군 13호분은 ‘특수통로시설’과 봉토를 효율적으로 쌓기 위한 ‘중심분할석벽’ 축조공법 등 아라가야 왕묘의 독창적인 토목기술로 축조된 고분으로 확인됐다.
함안군과 (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은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말이산 13호분과 주변지역에 대해 지난해 부터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한 뒤 20일 조사성과 및 현장을 공개했다.
조사단은 그동안 조사결과 13호분 대형 돌덧널무덤의 축조와 관련된 ‘특수통로시설’과 봉토를 효율적으로 쌓기 위한 ‘중심분할석벽’ 축조공법 등 아라가야 왕묘의 독창적인 토목기술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북쪽 특수통로시설은 벽석재와 부장용품 운반 및 제의공간으로 활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설로, 위에서 아래로 매장이 이뤄지는 돌덧널무덤에서는 처음으로 조사된 독특한 구조다.
조사단은 중심분할석벽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봉토고분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조로 대규모 암반대 조성공정에서 생성된 암반석재를 봉분축조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조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석성의 성벽과 비슷하고 현재 남아 있는 높이는 3m에 이른다.
조사단은 석벽은 정확히 돌덧널의 중심축 상부에 축조돼 13호분이 치밀한 설계를 통해 축조됐다는 것을 보여주며 2018년 조사된 함안 안곡산성 등의 성벽 축조기술과도 비슷해 당시 국가주도 토목기술의 상호관련성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돌덧널은 암반대 상부를 반반하게 만든 뒤 뒤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을 굴착하고 축조하였는데 모두 14매의 덮개돌을 덮었다. 특히 화강암제 등 강도가 높은 석재를 5매 정도 덮어 봉분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했다. 덮개돌과 벽석 최상단석 사이에는 점토를 깔고 너비 10cm 정도의 얇은 각재를 놓아 최상단 벽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평을 조절했다.
돌덧널은 길이 8.7m, 너비 2.1m 규모로 내부는 모두 적색안료(산화철이 포함된 석간주)를 사용해 붉게 채색한 채색고분이다. 벽에서는 말이산고분군의 특징적 시설인 들보시설이 완전한 상태로 발견됐다. 들보시설 바닥면에는 나무재질 흔적도 관찰됐다.
조사단은 13호분 돌덧널의 세부적인 축조기술은 고대 기술사적 비교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조사결과 1980년대까지 많은 도굴피해로 원상이 훼손된 상태였지만 꽤 많은 유물도 출토됐다.
조형미가 뛰어난 두 귀 달린 장군(물이나 술을 담는 그릇)을 비롯한 그릇받침, 굽다리접시 등의 토기류와 청동제 말갖춤장식편 및 갑옷편, 금동제 투조(透彫·금속판 일부를 도려내는 것) 허리띠장식구와 비취 곡옥(曲玉·굽은옥) 등이 출토됐다.
조사단은 출토 토기 등을 근거로 13호분은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했다.
13호분 주변지역에서 봉분은 유실됐지만 86호분과 129호분 2기의 돌덧널무덤이 조사됐다. 86호분은 돌덧널의 길이가 6.5m로 들보시설을 갖춘 중형급 무덤으로 내부에서 그릇받침, 불꽃무늬굽다리접시 등의 토기와 화살촉, 창(철모) 등 무기류, 말갖춤새(등자, 재갈)가 출토됐다.
129호분은 86호분보다 규모가 작고 내부에서 뿔잔, 굽다리항아리 등 토기가 출토됐다.
조사단은 86호분과 129호분은 13호분과 비슷한 시기인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배치관계로 볼때 13호분에 딸린 배장묘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말이산 13호분은 사적 제515호 함안말이산고분군의 최대급 고분으로 일제강점기인 1918년 일본인 야쓰이 세이이쓰(谷井濟一)가 한차례 약식조사를 했으나 몇 장의 도면과 사진만 남겨 고분의 역사적 가치는 전혀 알 수 없었다.
그 뒤 많은 도굴이 이뤄져 원상이 훼손된 상태에서 2017년 봉분 중앙에 꺼짐 현상이 나타나 함안군은 원인규명과 보존조치를 위해 2018년 발굴조사를 시작했다.
2018년 12월 18일 중간 조사성과 공개에서 덮개석에 새겨진 남두육성·청룡별자리 등 가야 최초의 별자리와 무덤방 내 4벽면을 붉게 채색한 채색고분, 고암반대 축조기법 등이 확인돼 관심이 쏠렸다.
함안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함안군과 (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은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말이산 13호분과 주변지역에 대해 지난해 부터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한 뒤 20일 조사성과 및 현장을 공개했다.
조사단은 그동안 조사결과 13호분 대형 돌덧널무덤의 축조와 관련된 ‘특수통로시설’과 봉토를 효율적으로 쌓기 위한 ‘중심분할석벽’ 축조공법 등 아라가야 왕묘의 독창적인 토목기술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함안 말이산 13호분 가야고분
조사단은 중심분할석벽은 우리나라 삼국시대 봉토고분에서 최초로 확인된 구조로 대규모 암반대 조성공정에서 생성된 암반석재를 봉분축조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구조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석성의 성벽과 비슷하고 현재 남아 있는 높이는 3m에 이른다.
조사단은 석벽은 정확히 돌덧널의 중심축 상부에 축조돼 13호분이 치밀한 설계를 통해 축조됐다는 것을 보여주며 2018년 조사된 함안 안곡산성 등의 성벽 축조기술과도 비슷해 당시 국가주도 토목기술의 상호관련성을 연구하는데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돌덧널은 암반대 상부를 반반하게 만든 뒤 뒤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을 굴착하고 축조하였는데 모두 14매의 덮개돌을 덮었다. 특히 화강암제 등 강도가 높은 석재를 5매 정도 덮어 봉분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했다. 덮개돌과 벽석 최상단석 사이에는 점토를 깔고 너비 10cm 정도의 얇은 각재를 놓아 최상단 벽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평을 조절했다.
함안 말이산 13호분 가야고분
조사단은 13호분 돌덧널의 세부적인 축조기술은 고대 기술사적 비교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조사결과 1980년대까지 많은 도굴피해로 원상이 훼손된 상태였지만 꽤 많은 유물도 출토됐다.
조형미가 뛰어난 두 귀 달린 장군(물이나 술을 담는 그릇)을 비롯한 그릇받침, 굽다리접시 등의 토기류와 청동제 말갖춤장식편 및 갑옷편, 금동제 투조(透彫·금속판 일부를 도려내는 것) 허리띠장식구와 비취 곡옥(曲玉·굽은옥) 등이 출토됐다.
함안 말이산 13호분에서 출토된 토기 등 유물
13호분 주변지역에서 봉분은 유실됐지만 86호분과 129호분 2기의 돌덧널무덤이 조사됐다. 86호분은 돌덧널의 길이가 6.5m로 들보시설을 갖춘 중형급 무덤으로 내부에서 그릇받침, 불꽃무늬굽다리접시 등의 토기와 화살촉, 창(철모) 등 무기류, 말갖춤새(등자, 재갈)가 출토됐다.
129호분은 86호분보다 규모가 작고 내부에서 뿔잔, 굽다리항아리 등 토기가 출토됐다.
조사단은 86호분과 129호분은 13호분과 비슷한 시기인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배치관계로 볼때 13호분에 딸린 배장묘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말이산 13호분은 사적 제515호 함안말이산고분군의 최대급 고분으로 일제강점기인 1918년 일본인 야쓰이 세이이쓰(谷井濟一)가 한차례 약식조사를 했으나 몇 장의 도면과 사진만 남겨 고분의 역사적 가치는 전혀 알 수 없었다.
그 뒤 많은 도굴이 이뤄져 원상이 훼손된 상태에서 2017년 봉분 중앙에 꺼짐 현상이 나타나 함안군은 원인규명과 보존조치를 위해 2018년 발굴조사를 시작했다.
2018년 12월 18일 중간 조사성과 공개에서 덮개석에 새겨진 남두육성·청룡별자리 등 가야 최초의 별자리와 무덤방 내 4벽면을 붉게 채색한 채색고분, 고암반대 축조기법 등이 확인돼 관심이 쏠렸다.
함안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