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섬유가 날리던 일산호수공원 인공폭포가 산뜻한 천연 바위와 꽃 나무가 어우러진 사진찍기 명소로 다시 태어났다.
경기 고양시는 ‘일산호수공원 인공폭포 개선사업’을 이달 초 마치고 2년 만에 재가동에 들어갔다고 16일 밝혔다.
일산호수공원 인공폭포의 재시공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진 인공암이 부식돼 유리섬유가 날린다는 서울신문 보도(2019년 3월25일자 12면)에 따른 것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995년 일산호수공원을 만들면서 법원공무원연수원 뒤편 호숫가에 FRP로 만든 인조암을 이용해 인공폭포 및 암벽지대를 조성했다. FRP는 오랫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부식되고 노후화되면서 쉽게 부서진다. FRP 가루는 심할 경우 현기증·두통·메스꺼움·피부홍반·결막염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철거한 뒤 불에 태우면 인체에 치명적인 다이옥신도 발생한다.
고양시는 서울신문 보도 후 즉각 인공폭포 부근 출입을 봉쇄하고, 기존 인공암 전체를 걷어냈다. 이어 공원 리모델링 용역 과정을 거쳐 그 자리에 천연 바위와 꽃·나무 등을 심어 공원을 찾는 시민들이 사진찍기 좋은 장소로 꾸몄다. 폭포 전면부는 층층이 부채꽃·꽃창포·영산홍 등으로 단장했다. 새로 만든 인공 폭포는 폭 88m, 높이 8.5m다. 주 폭포 3개와 2단 폭포 2개, 계류(시냇물) 폭포 2개로 꾸몄다. 7개 폭포에서 쏟아진 물은 3개 물줄기로 갈라지도록 조경을 배치했고 이는 다시 나무 통로(데크) 아래서 넓게 합쳐져 호수에 수차를 이루며 떨어진다. 주 폭포 3개는 고양시를 대표하는 북한산의 세 봉우리 ‘백운대·인수봉·만경대’를 형상화했다.
폭포를 전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데크는 폭 3m, 길이 40m짜리다. 폭포 전면으로 해서 나무다리를 호숫가 양쪽으로 길게 이어 놓았다. 예전에는 폭포를 측면에서만 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바로 앞에서 감상할 수 있다. 호수를 가로지르는 코스도 한 개 더해진 셈이다. 폭포 진입로는 디딤돌로 울퉁불퉁했던 기존 방식을 바꿔 3m 폭으로 넓히고 경사를 이룬 ‘무장애 진입로’로 만들었다. 휠체어와 유모차의 진입이 가능해 장애인과 노약자도 손쉽게 이동,폭포 감상이 가능하다. 폭포 주변에는 조형 소나무 등 2종 31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영산홍 12종 2802주와 꽃창포 등 5종 2850본도 심었다. 야간 폭포와 보행자 안전을 위해 47개의 경관 조명도 설치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경기 고양시는 ‘일산호수공원 인공폭포 개선사업’을 이달 초 마치고 2년 만에 재가동에 들어갔다고 16일 밝혔다.
일산호수공원 인공폭포의 재시공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만들어진 인공암이 부식돼 유리섬유가 날린다는 서울신문 보도(2019년 3월25일자 12면)에 따른 것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1995년 일산호수공원을 만들면서 법원공무원연수원 뒤편 호숫가에 FRP로 만든 인조암을 이용해 인공폭포 및 암벽지대를 조성했다. FRP는 오랫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부식되고 노후화되면서 쉽게 부서진다. FRP 가루는 심할 경우 현기증·두통·메스꺼움·피부홍반·결막염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철거한 뒤 불에 태우면 인체에 치명적인 다이옥신도 발생한다.
새롭게 단장한 일산호수공원 내 인공폭포(고양시 제공)
폭포를 전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 데크는 폭 3m, 길이 40m짜리다. 폭포 전면으로 해서 나무다리를 호숫가 양쪽으로 길게 이어 놓았다. 예전에는 폭포를 측면에서만 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바로 앞에서 감상할 수 있다. 호수를 가로지르는 코스도 한 개 더해진 셈이다. 폭포 진입로는 디딤돌로 울퉁불퉁했던 기존 방식을 바꿔 3m 폭으로 넓히고 경사를 이룬 ‘무장애 진입로’로 만들었다. 휠체어와 유모차의 진입이 가능해 장애인과 노약자도 손쉽게 이동,폭포 감상이 가능하다. 폭포 주변에는 조형 소나무 등 2종 31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영산홍 12종 2802주와 꽃창포 등 5종 2850본도 심었다. 야간 폭포와 보행자 안전을 위해 47개의 경관 조명도 설치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