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와 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스파르가눔증 기생충 감염으로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40대 여성 환자의 병변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개두술을 통해 살아 있는 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수술로 제거된 기생충의 모습. 서울대병원
국내 의료진이 뇌종양으로 오인됐던 희귀 기생충 감염을 규명하고 제거 수술에 성공했다. 환자는 과거 오염된 연못 물과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 고기, 생선을 섭취한 경험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30일 서울대병원 백선하 신경외과 교수와 순천향대서울병원 박혜란 신경외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스파르가눔증 감염으로 발생한 뇌 병변을 성공적으로 진단·치료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저널인 Neurology에 게재됐다.
스파르가눔증은 기생충 유충이 체내에 침투해 혈류를 타고 뇌로 이동하며 발생하는 드문 감염 질환이다. 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의 고기 또는 생선을 섭취할 때 감염된다. 감염 초기에는 두통과 구토 증상을 보이다 시간이 지나면 발작, 시야 결손, 감각 이상 등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사례는 극심한 두통과 구토로 서울대병원을 방문한 40대 여성 환자에서 시작됐다. 당시 자기공명영상(MRI)에서 뇌 좌측 후두엽에서 병변이 발견돼 뇌종양으로 오인됐다. 의료진은 수술을 권유했지만 환자는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
초기 뇌 MRI에서 좌측 후두엽에 조영증강된 종괴가 관찰된 모습. 8개월 뒤 다시 촬영한 뇌 MRI에서 좌측 두정엽에 새롭게 조영증강된 종괴의 모습. 좌측 두정엽 종괴 주변에 심한 뇌부종이 동반된 모습. 사진=서울대병원
7개월 후, 환자는 극심한 두통과 전신 발작으로 병원을 다시 찾았다. 추가 MRI 검사에서는 병변이 좌측 두정엽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됐다. 병변이 이동하는 점은 기생충 감염의 대표적인 진단 단서로, 의료진은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ELISA)를 통해 스파르가눔증 항체를 확인했다.
결국 환자는 개두술을 통해 살아 있는 기생충을 제거했다. 수술 중 발견된 기생충은 뇌 조직에서 살아 움직이는 모습이 영상으로 기록되며 학계에 보고됐다.
백 교수는 “MRI에서 병변이 이동하는 경우 기생충 감염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며 “오염된 물을 피하고 고기나 생선을 충분히 익혀 먹는 것이 예방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번 사례를 통해 기생충 감염이 종양성 병변으로 오인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신속한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