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갖고 싶은 장난감을 사주지 않으면 길바닥에서 데굴데굴 구르며 온몸으로 떼를 쓸 때가 있다. 대체 무엇이 문제일까.
# 만5세 넘어도 계속 땐 정서 문제
11일 인제대 상계백병원에 따르면 떼를 쓰는 행동은 부모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고 언어 표현력이 떨어지는 아이에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난다. 짜증 내거나 울고 소리를 지르다 물건을 부수거나 바닥에 뒹구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떼쓰는 아이들은 만 2~4세에 가장 많은데 50~80% 정도 아이들은 일주일에 1회 이상 떼를 쓰고 20%가량은 거의 매일 떼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 5세부터는 자기 생각을 말로 표현하게 되면서 떼쓰는 행동은 점점 줄어든다. 만약 이 시기 이후에도 떼쓰는 행동이 이어지면 정서적 문제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 화 잘내는 부모 따라 떼쓰기도
떼를 쓰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분노와 좌절감이다. 스스로 분노와 좌절감을 어른처럼 적절하게 타인에게 표현하지 못해 떼쓰기로 나타난다. 이때 부모가 아이의 감정 표현을 억압하면 아이들 사고나 행동이 극단적인 형태를 보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아이들은 부모 모습을 쉽게 따라하고 배운다. 부모가 화를 내는 모습을 자주 보이면 자신의 감정 표현 수단으로 이를 학습해 사용한다. 세 번째로 떼쓰기를 문제 해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이의 떼쓰기를 부모가 수용하면 이런 경향은 더욱 강화되고 결과적으로 부모나 주위 환경을 조종하는 도구로서 떼쓰기를 활용하기 시작한다.
# 억압보다 배려와 사랑으로 훈육
아이들 떼쓰기는 예방이 중요하다. 김봉석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아이가 분노와 좌절감을 잘 해소하고 감정을 잘 다스리는 모습을 부모로부터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아이 행동을 지나치게 금지하거나 억압하지 않고 아이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켜 주면서 선택권을 주는 등 자율성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반복적으로 떼를 쓰는 경우 주의할 점이 있다. 김 교수는 “부모가 흥분해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말싸움을 하고 협박하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이라며 “아이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말과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양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일관되게 대하는 것이다. 김 교수는 “부모가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 단호하게 표현해야 하고 떼를 쓴다고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고 낮은 톤으로 단호하게 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떼를 쓰는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 역할 놀이를 해보거나 아이에게 떼 쓸 수 있는 특정 장소를 미리 알려주는 방법도 있다. 뒤에서 껴안아 진정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 만5세 넘어도 계속 땐 정서 문제
11일 인제대 상계백병원에 따르면 떼를 쓰는 행동은 부모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고 언어 표현력이 떨어지는 아이에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난다. 짜증 내거나 울고 소리를 지르다 물건을 부수거나 바닥에 뒹구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떼쓰는 아이들은 만 2~4세에 가장 많은데 50~80% 정도 아이들은 일주일에 1회 이상 떼를 쓰고 20%가량은 거의 매일 떼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 5세부터는 자기 생각을 말로 표현하게 되면서 떼쓰는 행동은 점점 줄어든다. 만약 이 시기 이후에도 떼쓰는 행동이 이어지면 정서적 문제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 화 잘내는 부모 따라 떼쓰기도
떼를 쓰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분노와 좌절감이다. 스스로 분노와 좌절감을 어른처럼 적절하게 타인에게 표현하지 못해 떼쓰기로 나타난다. 이때 부모가 아이의 감정 표현을 억압하면 아이들 사고나 행동이 극단적인 형태를 보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아이들은 부모 모습을 쉽게 따라하고 배운다. 부모가 화를 내는 모습을 자주 보이면 자신의 감정 표현 수단으로 이를 학습해 사용한다. 세 번째로 떼쓰기를 문제 해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아이의 떼쓰기를 부모가 수용하면 이런 경향은 더욱 강화되고 결과적으로 부모나 주위 환경을 조종하는 도구로서 떼쓰기를 활용하기 시작한다.
# 억압보다 배려와 사랑으로 훈육
아이들 떼쓰기는 예방이 중요하다. 김봉석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아이가 분노와 좌절감을 잘 해소하고 감정을 잘 다스리는 모습을 부모로부터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아이 행동을 지나치게 금지하거나 억압하지 않고 아이 욕구를 적절하게 충족시켜 주면서 선택권을 주는 등 자율성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반복적으로 떼를 쓰는 경우 주의할 점이 있다. 김 교수는 “부모가 흥분해 아이에게 화를 내거나 말싸움을 하고 협박하는 것은 좋지 않은 방법”이라며 “아이가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말과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양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일관되게 대하는 것이다. 김 교수는 “부모가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 단호하게 표현해야 하고 떼를 쓴다고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없다고 낮은 톤으로 단호하게 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떼를 쓰는 가상의 상황을 만들어 역할 놀이를 해보거나 아이에게 떼 쓸 수 있는 특정 장소를 미리 알려주는 방법도 있다. 뒤에서 껴안아 진정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2-12 3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