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자료 안 남아… 軍이 남기겠나
韓 포함 관련된 모든 국가 대상”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위안부 모집에 강제성이 있었다고 판단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30년 전 위안부 문제에 사죄와 반성의 뜻을 나타낸 ‘고노 담화’를 발표한 고노 요헤이 전 중의원(하원) 의장이 당시 인터뷰를 했던 기록물에 이런 내용이 고스란히 담겼다. 고노 담화가 내각 전체의 뜻이 아니라는 우익 등의 주장이 터무니없다는 게 재확인된 셈이다.27일 중의원 홈페이지에 공개된 고노 전 의장의 구술자료를 보면 그는 “심증으로는 분명히 (위안부 모집 등이) 강제적으로 이뤄졌다는 것으로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총리도 생각했고 그런 의미에서 강제가 있었다고 해도 좋다고 봤다”고 말했다. “고노 담화를 발표하기 전 한국에서 실시한 위안부 관련 조사를 엉터리라고 비판한 사람들이 있었고 피해자의 기억이 애매한 부분이 있었지만 강제성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고도 했다.
고노 전 의장의 구술자료는 역대 중의원의 인생과 식견 등을 알리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공개된 것으로, 구술 채록은 2019~2021년 31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고노 전 의장은 관방장관을 맡고 있던 1993년 8월 4일 담화문을 발표하고,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군의 관여 아래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상처를 입혔다며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을 한다고 전했다. 이후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가 1995년 8월 15일 담화를 대면서 각의(국무회의) 결정이라는 절차를 거친 게 고노 담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도 설명했다. 고노 담화가 내각 전체의 뜻이 아니라는 우익들의 주장이 되풀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각의 결정이라는 신중한 절차를 밟았다는 얘기다. 일본 정부는 무라야마 담화를 통해 식민 지배를 공식 사과했다.
고노 전 의장은 위안부 강제 연행을 입증할 자료가 없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데려왔다거나 끌고 오라는 군의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군이 그런 공문서를 남길 리가 없다. 종전 당시 군 자료를 다 태워 처분했다는 인터뷰도 있지 않았나”라고도 했다.
또 고노 담화가 한국만을 대상으로 한 담화가 아니라며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이 관련된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등지에 있었던 위안부와 그 나라에 대한 담화”라고 강조했다.
2023-12-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