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먹고 살면서 중소기업은 거부…韓청년들 자존심만 강해” 日우익 비난

“라면 먹고 살면서 중소기업은 거부…韓청년들 자존심만 강해” 日우익 비난

김태균 기자
입력 2023-06-22 14:46
수정 2023-06-22 15: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무로타니 “韓청년들 현대판 양반 의식이 문제”
“생산직 기피는 ‘양반의 일’이 아니기 때문” 주장

이미지 확대
라면 자료사진
라면 자료사진
일본의 극우 인사가 취업활동을 하지 않는 한국 젊은이들이 증가한 것은 ‘현대판 양반의식’ 때문이라고 자의적인 주장을 폈다.

한국에 대한 ‘헤이트 스피치’(혐오·증오 발언)로 유명한 극우 인사 무로타니 가쓰미(74)는 22일 일간 유칸(夕刊)후지에 ‘한국에서 취업활동을 하지 않고 쉬는 청년 증가…자존심 강한 현대판 양반의 마이너스 인식…연봉은 일본보다 높다면서 왜 저출산이 진행되는가’라는 제목의 칼럼을 기고했다.

보수언론 산케이신문 계열의 타블로이드지 유칸후지는 산케이보다 훨씬 더 자극적으로 극우 논조를 펴는 대중 매체다.

무로타니는 “양반은 조선 왕조 시대의 귀족 계급을 일컫는다. 자존심이 강해 ‘양반은 물에 빠져도 개헤엄은 안 한다’라는 속담이 있다”고 글을 시작했다.
이미지 확대
일본 도쿄 분쿄구에서 열린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 도쿄 교도 연합뉴스
일본 도쿄 분쿄구에서 열린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
도쿄 교도 연합뉴스
그는 “오늘날 한국에서 대졸 남성은 젊은 층의 과반수를 차지한다”며 “이들은 ‘소수의 엘리트’와 거리가 먼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자존심이 강해 의식만큼은 ‘현대판 양반’이라고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중 일부는 매번 인스턴트 라면으로 배고픔을 달래면서도 ‘중소기업 같은 데는 취업하지 않겠다’고 결심한다. 이런 현상이 대졸 남성의 평균 첫 취업연령을 30세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국민경제의 관점에서 보면 커다란 마이너스 요인이다.”

무로타니는 조선시대 역사를 동원하며 한국을 비하했다.

“양반의 일이라는 게 집에 보유한 노비에게 농사를 지도하는 것이었다. 조선 왕조의 관료조직이 극히 작았기 때문에 과거시험에 합격해도 관직에 진출하기란 쉽지 않았다. 그래서 용케 관직을 얻게 되면 이때가 기회라며 직무 권한을 최대한 활용해 이권을 챙겼다. 같은 파벌의 윗사람에게 상납해 더 큰 이권이 있는 자리에 보내 달라고 부탁하기 위해서다. 파벌 역학구도가 바뀌어 쫓겨날 때에 대비한 저축이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지난달 2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제1차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2023.5.22 연합뉴스
지난달 22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제1차 KB굿잡 우수기업 취업박람회’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채용공고를 살펴보고 있다.
2023.5.22 연합뉴스
그는 “오늘날 한국에서 대기업, 공무원, 공기업, 시중은행 등에 취업할 수 있는 대졸 남성의 비율은 7% 정도”라면서 “이런 곳을 ‘오늘날의 양반 직장’이라고 본다면 파벌 다툼, 상사에 대한 아첨, 하청업체나 감독기관과의 유착 등 구조를 이해하게 된다”고 했다.

“현대판 양반 의식에 사로잡힌 젊은이들은 재벌기업에 입사해 임원으로 발탁돼 50세 전후에 퇴출의 난관을 극복하고 결국은 기업의 정점에 오르거나 재직 중 쌓은 역량과 연줄을 활용해 화려하게 독립하는 꿈을 꾸며 ‘취업 낭인’ 생활을 이어간다.”

그는 “한국 청년들은 배고픔을 달래기 위해 아르바이트는 할 수 있어도, 결코 생산직으로 취업하는 길은 선택하지 않는다”라며 “그것이 ‘양반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무로타니 가쓰미.  동영상 캡처
무로타니 가쓰미.
동영상 캡처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자격시험을 위한 공부도 취업을 위한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상태의 인구는 지난 4월 말 기준 20대가 38만 6000명, 30대가 27만 4000명이었다. 이러한 사람들이 어떤 기회(대부분은 부모의 연줄)로 기업에 취직했다고 할 때 ‘유능한 사원’으로 성장할 수 있을까. 결혼해서 아이를 낳을 여유는 있을까.”

무로타니는 “한국의 저출산 원인으로 ‘청년 빈곤’이 지적되지만, 더 파고들면 ‘청년들의 양반 의식’이 배일지도 모른다”며 “자의적인 통계를 근거로 ‘한국 직장인의 연봉이 일본을 추월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과연 한국의 저출산 원인이 뭐라고 생각하는지 물어보고 싶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