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히로시마 건축의 부재로부터 집과 도시의 재건까지

[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히로시마 건축의 부재로부터 집과 도시의 재건까지

임병선 기자
입력 2022-12-30 14:55
수정 2022-12-30 14: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2019년 수상한 일본 건축가 이소자키 아라타(磯崎新)가 28일 노환으로 오키나와현 나하시 자택에서 숨졌다. 아래 사진은 고인이 설계한 기타큐슈 시립미술관. 도쿄 교도 연합뉴스
‘건축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상을 2019년 수상한 일본 건축가 이소자키 아라타(磯崎新)가 28일 노환으로 오키나와현 나하시 자택에서 숨졌다. 아래 사진은 고인이 설계한 기타큐슈 시립미술관.
도쿄 교도 연합뉴스
“나는 제로 그라운드에서 자랐다. 완전히 폐허가 돼 건축도, 빌딩도, 도시도 없는 곳이었다. 내 주변에는 오로지 막사와 피난처 뿐이었다. 건축에 대한 내 첫 경험은 건축의 부재로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집과 도시를 재건할지 생각하는 것에서 시작했다.”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통하는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일본 건축가 이소자키 아라타(磯崎新)가 28일 노환으로 오키나와현 나하시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교도 통신이 30일 보도했다. 향년 91.

1931년 규슈 오이타 시에서 태어난 이소자키는 도쿄대 건축학과를 졸업한 뒤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전후 일본의 대표적 건축가인 단게 겐조 연구실에서 사사하며 건축가의 길을 걸었다. 그는 일본의 포스트모던 건축학을 이끈 인물로 기록된다.

전후 폐허로 스러진 일본의 모습이 그의 건축 이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는 히로시마 피폭 이후 상황을 언급하며 건축가의 길에 들어섰음을 내내 강조했다. 이소자키는 건축가로 50년을 일하면서 단순하면서도 공간을 재정의해 공공 공간의 정의를 채운 디자인으로 찬사를 받았다.
그는 1967년 고향 오이타 도서관을 시작으로 1983년 쓰쿠바센터 빌딩 등 일본 내에 주요 건물을 남겼다.

1980년대 들어서는 해외 활동에 주력했다. 1981년부터 1986년까지 작업한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이 그의 첫 해외 작품이었다. 1992년 완공한 바르셀로나올림픽 주경기장, 중국 선전 문화센터, 밀라노의 알리안츠 타워도 그가 설계했다.

1996년 베네치아비엔날레 국제건축전에서는 일본관 커미셔너를 맡아 1995년 발생한 한신(고베) 대지진의 폐허를 재현한 전시로 최고상인 황금사자상을 받았으며 2019년 프리츠커상 수상으로 절정을 구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