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국립생태원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거주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생태계서비스 대국민 인식 및 만족도’의 결과는 여러 가지로 흥미롭다. 생태계서비스의 네 가지 기능 중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항목은 ‘조절’ 서비스. 당장 레저와 휴양을 즐길 수 있는 생태계의 ‘문화’ 기능보다 건강한 자연환경을 제공해 주는 ‘조절’ 기능을 더 중시한다는 답변이 많았다. 기후위기 경각심이 높아져 생태계 가치에 대한 인식도 점점 달라진다는 분석이다. 복잡한 듯한 조사 결과의 핵심 맥락은 간단하다. 지금 사람들이 가장 중시하는 생태계 가치는 ‘내 집 주변 산책지’라는 얘기다.
17개 광역단체 중 자연환경 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어디였을까. 제주도(61.8%)가 아니라 세종시(74.3%)였다. “집 주변에 공원이 많다”는 것이 만족도를 높인 결정적 배경. 세종시의 1인당 공원 면적은 57.6㎡로 17개 광역단체 평균(11.3㎡)의 5배가 넘었다. 세종호수공원, 국립세종수목원, 금강수변공원 등 외지인들에게도 명소가 된 공원이 실제로 여럿이다.
도시가 어떤 형태로 변모하든 변함없을 인간 욕구는 걷는 행위, 산책일 것이다.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산책의 의미를 끊임없이 탐구한 철학적 사유도 그런 욕구의 발로였을 터. 숲과 자연 속 걷기로 사유했던 헨리 데이비드 소로, 장 자크 루소야 말할 것도 없고 철학자 발터 베냐민은 문명화된 도심을 정처 없이 걷는 행위까지 산책의 의미로 탐색했다.
출산율, 월평균 인구 증가율, 가구당 평균소득, 부동산 거래 외지인 증가 비율…. 지금까지의 각종 1위 기록에 ‘산책 도시’로서의 최고 위상까지 누리고 있는 세종시. 어쩌면 세종시는 현대인들이 갈급한 또 다른 형태의 ‘욕망의 도시’는 아닐는지.
2023-11-28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