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현대車의 ‘연령 배분’ 실험/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현대車의 ‘연령 배분’ 실험/안미현 수석논설위원

안미현 기자
입력 2023-09-21 00:04
수정 2023-09-21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11년 우리나라 제조업 근로자의 평균 나이는 39.2세였다. 그로부터 10년 뒤인 2021년 평균 나이는 43.0세. 3.8세가 올랐다. 같은 기간 미국은 0.1세 상승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는 일본도 1.5세 오르는 데 그쳤다. 한국경제인협회의 지난해 말 조사 결과다.

늙어 가는 공장의 심각성에 청장년이 위기 의식을 느낀 것일까. 현대자동차 노사가 새로 짓는 울산공장 근로자의 30%를 ‘2030 젊은피’로 채우기로 합의했다고 한다. 일하는 공장이나 라인을 바꿀 때면 ‘짬밥이 왕’인 게 현대차의 불문율이었다. 2006년 전환 배치 기준을 정하면서 ‘회사 기여도’를 맨앞에 놓기로 노사가 합의했기 때문이다. 근속 연수만큼 계산하기 손쉬운 기여도는 없다.

울산공장은 올 연말 착공해 내후년 완공이 목표다. 이곳에서 일할 생산직의 노사 합의 할당률은 20~30대 30%, 40대 40%, 50대 이상 30%다. ‘연령 배분’은 현대차 창사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최신식 공장이라 인기가 높은데도 고참 노동자들이 기존 룰을 고집하지 않은 것은 일단 100% 신규 수혈이라 자리에 여유가 있는 점, 새로 익히기에 다소 부담스러운 전기차 전용 공장이라는 점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MZ세대는 내연차에 비해 품이 덜 들고 쾌적한 생산라인에 끌릴 수밖에 없다.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대타협은 우리나라 제조업의 고질적 약점인 ‘노화’ 완화의 기대감을 끌어올린다. 숙련된 기술과 노하우 이전은 말할 것도 없다. ‘한국판 버핏과의 점심’ 1호 주자도 마다 않는 젊은 회장(정의선)의 소통 능력도 느껴진다.

독일은 올해 주요 선진국(G7) 가운데 유일하게 역성장이 예상되는 나라다. 제조 강국에서 졸지에 유럽의 병자로 전락할 위기에 놓인 데는 높은 제조업 비중과 뒤처진 전기차 대응, 고령화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현대차 임직원 7만여명 가운데 30~40대 비중은 지난해 43.7%다. 7년 전보다 12.1% 포인트나 줄었다. 반면 50대 이상은 9.6% 포인트 늘었다. 고령화에 따른 제조 경쟁력 약화가 독일만의 얘기가 아닌 것이다. 우리 사회는 정년 연장이라는 난제도 마주하고 있다. 연령 배분 실험은 세대 공존과 타협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 여러모로 신선하고 주목된다.
2023-09-21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