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화엄사의 비건 버거/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화엄사의 비건 버거/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23-09-04 01:36
수정 2023-09-04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인도 동북부의 비하르주 보드가야는 석가모니 부처가 깨달음을 이룬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갠지즈강 지류인 네란자라강이 흐른다. 깨달음을 이루기 직전 싯다르타는 초인적인 고행으로 크게 야위었다. 뼈만 앙상한 부처의 고행상(苦行像)은 이때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싯다르타는 네란자라강에 들어가 목욕을 했는데 쇠약할 대로 쇠약해져 가까스로 물 밖으로 나올 수 있었다. 그때 소먹이는 소녀 수자타가 피골이 상접한 싯다르타의 모습을 보고 정성스럽게 우유죽을 쑤어 건넸다. 기력을 찾은 싯다르타는 정진을 이어 간 끝에 깨달음을 이룰 수 있었다.

수자타의 우유죽을 놓고 육식이냐 아니냐 입씨름이 없지 않았다. 불교계 일각에서는 소젖이 아닌 코코넛으로 만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무엇으로 만들었건 수자타의 우유죽이 부처가 깨달음을 이루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위대한 공양’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동남아시아 소승불교는 육식을 특별히 금하지 않지만 동북아시아의 대승불교는 가리는 음식이 많다. ‘삼국유사’에 나오는 혜공과 원효의 설화는 한국불교의 육식 금기가 최소한 1400년 이상 역사를 가졌다는 것을 보여 준다. 원효와 스승 혜공이 물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놀다가 함께 배설을 했는데, 혜공 것은 다시 물고기가 돼 살아나갔다는 것이다.

혜공은 ‘네 것은 똥인데 내 것은 물고기가 되지 않았느냐’(여시오어·汝屎吾魚)라고 원효에게 일갈했다. 이후 항사사였던 절 이름도 오어사가 됐다. 항사사라는 절 이름도 흥미롭다. 항사(恒沙)는 항하사의 준말로 항하(恒河)는 갠지즈강이다. 혜공이 이룬 깨달음의 경지를 상징하는 설화지만 당대 사회의 물고기를 포함한 육식 금기가 바탕이 됐다. 포항 오어사 이야기다.

지리산 화엄사가 비건 버거를 내놓았다. 쌀로 만든 빵과 콩 단백질 패티 등 모두 식물성 재료를 써서 만들었다고 한다. 직영점과 온라인에서 팔고 해외시장에도 진출하겠다는 것이다. 화엄사가 직접 생산에 나섰다기보다 전문 사업자가 불교 이미지를 활용하고자 대(大)사찰과 손을 잡은 듯하다. 이 버거에 들어가는 치즈까지도 식물성이라고 하니, 자연스럽게 수자타의 우유죽이 떠오른다.
2023-09-04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