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중국 시진핑 주석이 세계 최대 커피 체인점인 스타벅스의 하워드 슐츠 명예회장에게 편지를 보낸 게 화제가 됐다. 스타벅스가 미중 경제무역협력과 양국 발전을 위해 적극적 역할을 해 달라는 내용이었지만, 사실상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앞서 화해를 원한다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됐다. ‘커피외교’로 표현될 만하다.
고종은 우리나라 최초의 커피 시음자이면서 커피를 외교 수단으로 활용했다는 주장도 있다. 아관파천 이후 서양식 카페(정동화옥)를 만들게 해 개화파 인물들이 그곳에서 외국 인사들과 사귀며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토록 했다고 한다.
일반 대중들이 커피를 즐길 수 있었던 다방은 1927년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감독 이경손(1905~1977)이 서울 종로구 관훈동 3층짜리 벽돌 건물의 1층에다 ‘카카듀’라는 다방을 열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소위 한국식 ‘다방커피’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다방커피의 매력은 식물성 지방으로 만들어진 커피 크리머와 설탕의 비율을 기호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데 있다. 크리머와 설탕이 커피 원두의 품질만큼이나 맛을 좌우했다.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를 위해 프랑스 파리를 방문한 김건희 여사가 외신기자들에게 다방과 믹스커피를 소개해 눈길을 모았다. 파리의 한국문화원이 재현한 부산의 다방 ‘밀다원’은 한국전쟁 당시 예술가들의 안식처였고, 기자들에게 제공된 믹스커피는 요즘 전 세계로 수출되고 있는 한국식 다방커피의 산물 아닌가. 외교 행사에 믹스커피를 사용했다는 게 놀랍다. 엑스포 유치를 희망하는 우리 국민들의 바람 또한 오래도록 기억됐으면 한다.
2023-06-2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